"수출중심공식 바꿔야"
한일경제블록부터 규제 개혁까지
"공동체와 성장해야" 부친 뜻 이어
경제 성장 위한 방향 고민
|
성장에 대한 최 회장의 고민은 단순히 기업 성장 전략 차원이 아니라, 국가 경제에 기여해야한다는 사회적 책임의 실현을 위한 움직임이다. 최 회장은 부친인 최종현 선대회장의 '공동체와 함께 성장해야 한다'는 정신을 잇는 행보로 한국 경제의 새로운 방향을 그리고 있다.
26일 최 회장은 유튜브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압권 등 3개 채널 연합 인터뷰를 통해 APEC CEO 서밋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한국 경제에 필요한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APEC 정상회담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 등 세계 정상이 모이는 만큼, 향후 몇 년간의 미중 관계를 내다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란 기대다.
아울러 최 회장은 한국 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깊은 고찰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성장 기조가 이어지고, 마이너스성장까지 걱정해야할 단계라고 짚은 그는 "새로운 성장공식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옛날처럼 WTO 체제로 자유무역이 회복되기는 어렵다"며 "60년대부터 이어져 온 수출 중심 경제 성장 공식이 이제는 관세로 인해 통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법으로 '한일 경제연대, 성장지향형 규제 전환, AI 투자, 해외 인재유입과 메가샌드박스'를 제안했다.
|
이와 함께 규제 혁신에 대한 견해도 제시했다. 최 회장은 정부와의 대담 등에서도 줄곧 규제 재설계를 제안했던 바 있다. 그는 "중소기업을 무조건 보호하는 정책은 낡은 방식"이라며, "성장하는 기업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산업별로 핵심 공급망을 강화하고, 반도체 등 전략 산업을 중심으로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AI에 대한 투자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봤다. 최 회장은 현 미국과 중국의 주도권 싸움에 대해서는 과거 냉전시대 미국과 소련의 군비 경쟁이 연상된다며, "양국은 AI 투자 전쟁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계속된다 하더라도 해야 할 투자는 해야 한다"라며, "AI 분야에서 뒤처지는 것은 큰 리스크가 될 수 있으며 관련 투자를 이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AI 등의 혁신적 성장을 위해서는 규제를 자유롭게 풀어주는 '메가샌드박스'의 도입 필요성도 재차 강조했다. 최 회장은 "지역에 메가샌드박스를 만들어 AI 실험장과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면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며, "해외 인재가 일정 기간 국내에 머무르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그린카드' 등 제도도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최 회장은 "제조업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마진이 높은 소프트 상품과 서비스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한식 산업화 등 '소프트머니'를 발굴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해외 인재를 유치해 중장기적인 성장을 꾀해야한다고도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