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래픽=박종규기자 |
![]() |
윤영경 고려대암암병원 감염내과 교수./고려대안암병원 |
야외 활동 이후 발열이나 두통이 있다면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를 의심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조언이 제기됐다.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는 대표적인 진드기 매개 감염병이다.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된 일부 진드기에게 물려 해당 요소가 감염되는 질환이다. 매년 가을철인 10~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돼 특히, 추수철 농작업이나 등산, 캠핑 등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쯔쯔가무시증은 오리엔타 쯔쯔가무시라는 세균을 보유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감염되는 질환이다. 털진드기는 초가을에 부화 후 9월 말부터 출현해 10~20℃의 선선한 초가을 날씨인 10월 중순 이후 급격히 증가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 쯔쯔가무시증 환자는 매년 6000명 내외다. 감염 시 1~3주의 잠복기 후 오한, 발열, 두통 등의 증상과 자칫 환절기 감기 증상으로 오인하기 쉽다. 초기 항생제 치료 시 빠른 회복이 가능하지만, 방치할 경우 폐렴, 뇌수막염, 신부전 등 중증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 소피 참진드기에게 물려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SFTS 환자는 매년 약 200명 내외로 보고되고 있고 고열과 구토 등의 증상이 있다. 치명률은 약 18.5%에다 현재까지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예방이 최선의 방어책인 질환이다.
가장 좋은 예방 방법은 진드기에게 물리지 않는 것이다. 야외 활동이나 농작업 시에는 긴팔, 긴바지, 양말 착용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진드기 기피제 사용이 권장된다. 또한 풀밭에 바로 앉거나 눕는 행동을 피하고, 야외 활동 후에는 즉시 샤워 및 옷 세탁을 해야 한다. 특히 진드기 서식이 잦은 지역에는 방문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윤영경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감염내과 윤영경 교수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야외 활동 후 1~3주 이내에 구토, 설사, 두통, 고열과 같은 증상이 발현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어 "최근 기후 변화로 진드기의 활동 시기가 점점 길어져 감염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예방 수칙을 생활화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백신임을 기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