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7760개 사전 조치…내년 조사 구간 2배로
서울안전누리 내 GPR 탐사지도 공개
|
시는 이런 내용이 포함된 GPR 탐사 실적 분석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GPR 탐사는 지표에 전파를 쏘아 반사되는 신호를 분석해 땅속 빈 공간을 선제적으로 발견·조치하는 지반침하 예방 활동이다. 시는 2014년 11월 전국 최초로 GPR 탐사를 도입하고 이듬해부터 본격적으로 정례 탐사해 왔다.
10여 년간 누적 조사 연장은 총 3만3129km로, 이 기간 발견된 공동은 7760개로 집계됐다. 올해는 7169km 구간을 탐사해 지반침하로 이어질 수 있는 공동 578개를 발견하고 모두 선제 조치했다. 연간 조사 연장은 2015년 614km에서 올해 9월 기준 약 7169km로 늘어났다. 10년 사이 약 11.7배 증가한 셈이다.
1km당 발견된 공동 수는 같은 기간 0.41개에서 0.08개로 5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시는 촘촘한 GPR 탐사로 공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선제적으로 제거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시는 연말까지 9000km에 대한 탐사를 완료하고, 내년부터는 인력과 장비를 대폭 늘려 연간 1만8000km를 탐사할 계획이다. 또 굴착공사장 주변과 일반도로 구간 등도 매년 전수 조사한다. 이를 위해 전문 인력을 현재 7명에서 올 연말까지 10명으로 늘리고, 차량 GPR 장비 3대를 추가로 확보해 총 10대로 운영할 예정이다.
굴착공사장 주변에 대한 GPR 탐사도 대폭 강화했다. 지난 4월부터 굴착공사장 인근에서 매월 1회 특별점검을 하고, 지하철·도로터널 등 대형 공사장 주변은 주 1회 집중 점검 중이다. 지난 1~9월 시내 굴착공사장 289곳과 신안산선·동북선·지하철 9호선 연장 등 대형공사장 23곳 등 총 312곳을 조사해 97개의 공동을 발견하고 모두 조치했다.
시는 '서울안전누리' 내 GPR 탐사지도를 통해 GPR 탐사 결과와 조치 현황을 시민에게 공개하고 있다. GPR 탐사지도 속 노란색 점은 공동이 발생한 위치를 나타내며, 점을 선택하면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올해 실시한 GPR 탐사 노선은 선으로 표시한다. 지난달 말부터는 '공동 밀집도' 기능을 새로 도입해 공동이 많이 발생한 지역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한병용 시 재난안전실장은 "GPR 탐사를 강화하고 발견된 공동은 100% 신속 조치해 지반침하를 예방하고 있다"며 "굴착공사장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지반침하 예방을 위한 신기술을 도입해 안전한 서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