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부는 지난달 7일 발표한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핵심 과제로 수도권 신축매입임대 사업을 적극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신축매입임대는 민간이 주택을 짓기 전에 공공이 매입약정을 체결해, 준공 후 이를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7만 가구 규모의 착공 물량 90% 이상을 교통 접근성이 높고 주거여건이 우수한 지역에 공급할 방침이다. 공급 유형은 오피스텔·아파트·도시형생활주택 등으로 다양화한다. 공공이 선제적으로 약정을 체결해 신속한 공급이 가능한 만큼, 수도권 주택 공급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공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착공단계 인센티브(매입대금의 최대 10% 선지급)를 도입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내 '조기착공지원팀'을 신설해 현장 중심 사업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8월 말 기준 신축매입임대 약정 체결 건수는 2만4000호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0배 늘었다.
이상경 국토부 1차관도 이날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의 신축매입임대 추진 현장을 방문해 "신축매입임대는 신혼부부와 청년층이 선호하는 도심 내 우수 입지 주택을 빠르게 공급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이라며 "수도권 14만 가구 공급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주거안정을 조기에 달성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