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2위
한국, 美·中·日 이어 세계 4번째로 많은 1위 분야 확보
中 감시카메라·가전 등 점유율 하락…전기차·스마트폰은 여전히 강세
|
닛케이가 이날 공개한 2024년 주요 상품·서비스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보면 한국 기업은 D램 반도체·낸드 플래시 반도체·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초박형 TV 등 4개 품목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1위 분야 수는 2023년과 같다.
4개 품목 모두 삼성전자가 2023년에 이어 점유율 1위를 지켰다. 이들 품목은 점유율 2위도 한국 기업이었다.
D램 반도체 점유율은 삼성전자 41.1%·SK하이닉스 33.8%,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삼성전자 34.8%·SK하이닉스 21.3%, OLED 패널은 삼성전자 41.7%·LG디스플레이 23.8%, 초박형 TV는 삼성전자 16.3%·LG전자 14.6%였다.
한국 기업이 1위를 차지한 분야 수는 미국 27개(2023년도 26개)·중국 18개(17개)·일본(10)에 이어 네번째로 많았다.
암 치료·생성형 인공지능(AI) 관련 기반 기술·서비스 등 6개 분야에서 세계 1위 업체가 바뀌었고, 특히 감시 카메라·가전제품 등 15개 분야에서 중국 주요 기업 점유율이 감소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중국 기업의 감시카메라 세계 점유율은 2023년 52.5%였으나, 지난해는 49.9%로 2.6%포인트 떨어졌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11.3%(2023년 12.2%)·가정용 에어컨 51.8%(52.1%) 등도 중국의 점유율이 낮아졌다.
닛케이는 "미국 정부가 규제와 관세로 압박을 강화하고, 부동산 거품 붕괴에 따라 내수 부진이 지속되면서 중국 기업 경쟁력에 그늘이 드리워지고 있다"고 해설했다.
다만 전기차·스마트폰 등에서는 중국 주요 기업들이 여전히 높은 점유율을 유지한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