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벤처기업 몰려 들어 방위산업 생태계 만들어
로봇드론센터 완공되면 새 효자산업으로 떠오를듯
|
21일 시에 따르면 시는 2022년 드론특화 방산혁신클러스터 선정 이후 방위산업 생태계 육성에 주력해 왔다. 특히 드론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입증되었듯이 전쟁의 승패를 가늠하는 중요한 방위산업의 아이콘으로 떠 올랐다.
또 2023년 방위사업청이 대전 서구 월평동으로 임시 이전하면서 대덕특구, 국방과학연구소(ADD), KAIST 등과 연계된 방위산업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2026년까지 5년간 490억 원을 들여 방산특화개발연구소 구축, 국방·드론 기술사업화 지원, 시험장비 구축, 국방 신규진입·창업 지원 등을 추진 중이다.
시에 따르면 국방벤처센터 참여기업은 민선 8기 이후 두 배 이상인 144개 사로 늘었고, 지역 기업 19곳이 방위사업청 '방산혁신기업 100'에 선정돼 950억 원의 국비를 확보했다.
같은 기간 기업 매출은 484억 원 증가했고, 신규 고용 609명, 투자유치 775억 원, 특허·인증 221건 성과를 올렸다.
KAIST와 공동 R&D를 추진한 지역기업은 지난 6월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73억 원 규모 투자협약을 체결했으며, 군 소요 발사형 공격드론 전투실험에도 참여했다.
시는 첨단국방과학도시 조성을 위해 약 48만 평 규모의 안산첨단국방산업단지를 2026년 착공, 2027년 분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방 반도체 자립화를 위해 국방 반도체센터도 출범해 무기체계 시험과 인증을 체계화한다.
또한 방산 생태계 활성화, 핵심 부품기업 성장지원, 전문인력 양성, 대전투자금융 설립 등 전주기 지원도 병행한다. 2026년 완공 예정인 '대전로봇드론지원센터'는 시험, 실증, 비즈니스,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2028년 방위사업청 신청사가 완공되면 연 18조 원 규모 국방조달 예산이 대전에서 집행돼 경제 효과가 클 것"이라며 "대전의 방산기업과 과학기술 인프라를 기반으로 대전을 'K-방산수도'로 키워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