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푸드테크, 미래지향적 산물… K식품 업그레이드 시킬 기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7010010788

글자크기

닫기

정영록 기자

승인 : 2025. 10. 27. 18:07

조리로봇·3차원 식품 프린팅 기술 등
미래세대 건강 지키고 식량안보 기여
정부 "업계·학계와 발전계획 만들 것"
'인공지능(AI)과 푸드테크 융합 및 발전방안' 정책포럼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1소회의실에서 열린 '인공지능(AI)과 푸드테크 융합 및 발전방안' 정책포럼에 참석한 산·관·학 전문가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송의주 기자
"인공지능(AI)과 푸드테크의 융합은 식품 산업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27일 국내 식품 분야 전문가를 비롯해 기업 및 정부 관계자 8명은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1소회의실에서 열린 'AI와 푸드테크 융합 및 발전방안' 정책포럼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이번 포럼은 더불어민주당 한병도·윤준병·이원택 의원, 국민의힘 김선교·강명구 의원이 주최하고 아시아투데이와 월드푸드테크협의회가 공동 주관했다.

푸드테크는 식품(Food)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생산·유통·소비 전 과정에 첨단기술이 결합된 신(新)산업을 말한다. 조리로봇, 3차원 식품 프린팅, 대체 식품 생산 등이 핵심 기술로 꼽힌다.

이기원 월드푸드테크협의회장(서울대 교수)은 이날 'AI시대, 모두의 푸드테크'를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푸드테크가 식품 소비·유통·제조·생산 등 전 과정에 연관된 문제를 해결하는 '창발기술'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산업적 잠재력에 대해 설명했다.

이 회장은 "푸드테크는 다음 세대를 위해 건강하고 좋은 환경을 물려주기 위한 기술과 콘텐츠의 미래지향적 산물"이라며 "탄소 배출을 감축하는 기업, 스마트팜 등 식량안보와 제어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기업, 친환경 식품 및 소재를 만들어내는 기업 등이 다수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AI 시대에 '케이(K)-푸드'를 넘어 연관된 융합산업을 생산뿐만 아니라 제조·유통·소비 전 과정에서 새로운 문화를 만드는 것이 'K-푸드테크'를 컬처화시키는 일"이라며 "푸드테크는 왜 먹을까, 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등 농식품이 앞으로 미래지향적인 문화·가치산업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주제발표 이후 산·관·학 전문가 토론도 진행됐다. 권오상 서울대 푸드테크학과 교수가 사회를 맡았다. 토론 참석자들은 푸드테크 산업의 미래성장 가능성과 정책적 지원 필요성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승환 대상웰라이프 이사는 "AI와 식품의 융합은 (산업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기회"라며 "먹거리가 아닌 기능성 측면으로 발전함과 동시에 물류에도 (관련 기술이) 적용되면 협업 시너지가 일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홍병희 그래핀스퀘어 대표는 푸드테크가 K-푸드 수출 및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요인이라는 관측을 내놨다. 홍 대표는 'CVD 그래핀'이라는 탄소 기반 신소재를 활용한 조리도구를 개발하고 있다. 해당 조리도구는 일반 제품 대비 에너지효율이 높고, 고른 열전도율로 요리 활용도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홍 대표는 "K-푸드는 복사열에 의해 특별한 맛을 내는데 프라이팬 같이 서양에서 들어온 조리기구는 대부분 스팀·대류를 이용하기 때문에 맛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다"며 "전자레인지, 에어프라이기가 등장하면서 세계 식품 트렌드가 바뀐 것처럼 그래핀을 활용한 조리기구가 집집마다 보급되면 새로운 식품 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지현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경영기획실장은 AI를 활용한 디지털식품 플랫폼을 구축해 원료·제조·기술개발·유통 등 과정을 효율화하고, 연관 기업을 참여시켜야 한다는 구상을 전했다.

김 실장은 "범용 AI가 식품 쪽에 들어와서는 큰 작용을 할 수 없으니 식품만 전문으로 하는 버티컬 AI를 만들어야 한다"며 "각 분야에 맞는 푸드 AI 에이전트를 통해 협업체계를 구축하면 K-푸드의 위상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유미선 농림축산식품부 푸드테크정책과장은 오는 12월21일 '푸드테크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푸드테크 육성법)'이 본격 시행되는 만큼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유 과장은 "정부 지원은 민간이 활동하는데 애로사항이 없는지, 어떻게 하면 더 도약할 수 있을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연구지원센터 및 계약학과 운영을 통해 공동활용 시설과 인력 등을 지원하고 있지만 충분할 정도는 아니다. 업계와 학계 등 의견을 담아 발전방안 기본계획을 만들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영록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