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악 범죄자 구속 못하고 풀어주게 될 수도"
"정부, 국민 안전 포기…자화자찬 말고 청년들 구출해야"
"범죄 피의자 전세기까지 동원해 구출해"
|
주진우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문신을 보고 국민이 놀랐다. 64명을 한 번에 무더기로 데려오면 동시에 수사하고, 구속할 수 있냐"며 "거짓말하고 서로 책임을 미루면 체포 시한 48시간 내 진상 규명이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주 의원은 "이재명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의 보여주기식 범죄자 송환으로 강력범이 단 한명이라도 석방된다면 국민 안전만 위험에 빠진다"라며 "무슨 일을 이런 식으로 하나. 캄보디아에서 구금된 사람은 현지에서 합동 조사하고, 순차 송환했어야 맞다"라고 말했다.
이어 "전세기 쇼하느라 진상 규명이 훨씬 어려워졌다"며 "캄보디아에 구금돼 있던 사람들 중에서는 고문, 납치 등 강력 범죄에 깊숙이 관여된 사람도 있다. 국내 송환을 피하려 했다. 이런 식이면 필리핀, 베트남, 태국, 라오스에는 전세기 왜 안 띄우나"라고 반문했다.
최보윤 수석대변인도 이날 논평에서 정부가 국민의 안전을 포기했다고 주장했다. 최 수석대변인은 "벼랑 끝 청년 외면하고, 피의자부터 송환한 정부 대응은 '국민 안전 포기'"라며 "사회에 첫발을 내딛자마자 빚의 수렁에 빠진 청년들이 언제라도 범죄조직의 표적이 될 수 있는 상황이고, 이것이 지금 대한민국 청년의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절박한 상황에서 피해자 구출이라는 최우선 과제를 뒤로한 채, 피의자 송환을 '실적'으로 포장한 정부의 대응은 국민 안전을 포기한 것과 다르지 않다"며 "정부가 해야 할 일은 '자화자찬 홍보'가 아니라, 위험에 놓인 청년들을 구출하고 다시 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강조헀다.
이어 정부를 향해 "정부는 아직도 구출되지 못한 국민이 안전하게 돌아올 수 있도록 국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정부는 이제라도 20대 청년들에게 절망이 아닌 '희망의 출발선'을 열어주는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용술 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정부가 '피해자'가 아니라 '피의자'를 구출했다고 직격했다.
조 대변인은 "청개구리 정부를 넘어선 공갈 정부"라며 "정부가 자화자찬한 '신속 대응'은 캄보디아 당국에 체포된 '범죄 피의자'를 전세기까지 동원해 구출하는 것이었다"고 지적했다.
또 "피해자가 아닌 피의자를 상대한 대응. 이뿐만이 아니었다. 정부의 대응에 '피해자 국민'은 계속해서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17일 캄보디아 현지 한국 대사관에 자진 방문한 20대 한국인의 사태를 거론하며 "'빨리 들어가야 한다'는 절규에 돌아온 것은 '여권 있냐', '신분증 있냐'는 무심한 반문과, 3시 30분이 되자 '업무 종료'라는 답이었다"며 "언론의 긴급 개입이 아니었다면 이 청년의 생사는 알 수 없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정부가 진정 국민을 위한 정부라면 대사관의 '칼퇴 행정'을 중단하고, 24시간 대응 체제를 가동해 야 한다"며 "국민의힘은 국민의 생명을 지키지 못하는 정부라면 비판과 견제를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