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5년 뒤 반도체·車·선박까지… 中에 10대 수출품목 다 밀릴 것”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7010008699

글자크기

닫기

한대의 기자

승인 : 2025. 11. 17. 18:17

국내기업 열중 여섯, 최대 수출 경쟁국으로 중국 지목
기업경쟁력은 이미 中에 추월, 5년 뒤 격차 더 벌어져
BYD 전기차 국내 공식 출시<YONHAP NO-4947>
16일 오전 인천 중구 상상플랫폼에서 열린 '중국 BYD 승용 브랜드 런칭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전기차 아토 3 등 차량이 공개되고 있다. /연합
우리나라 10대 수출 주력업종 기업경쟁력이 2030년에는 전 분야에 걸쳐 중국에 뒤처질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이 나왔다.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석유화학 및 석유제품 뿐 아니라 반도체, 자동차, 선박까지 중국의 산업경쟁력이 '추격'을, 넘어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17일 한국경제인협회가 10대 수출 주력업종을 영위하는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한·미·일·중 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62.5%의 기업이 '현재 수출 최대 경쟁국은 중국'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 미국 22.5%, 일본 9.5%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조사에 응한 국내 기업들은, 2025년 현재 중국이 철강, 일반기계,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등 5개 업종에서 한국보다 앞선 것으로 봤다. 반면 반도체, 전기·전자, 선박, 석유화학·석유제품, 바이오헬스 등 5개 업종은 한국이 더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답했다.

하지만 5년 뒤인 2030년에는 10개 주력업종 모든 분야에서 중국의 경쟁력이 한국 보다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2030년 가격경쟁력과 생산성, 정부지원과 전문인력, 핵심기술과 상품브랜드에서 모두 중국이 우위에 설 것이란 관측이다.

한경협은 "국내 기업들은 우리나라의 기업경쟁력이 이미 미국과 중국에 뒤처지고 있으며, 향후 5년 후에는 그 격차가 더욱 벌어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특히 5년 후 중국의 기업경쟁력은 미국과 대등한 수준으로 발전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했다.

기업들은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부에 '대외 리스크 최소화', '핵심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 '세제, 규제완화, 노동시장유연화 등 경제효율성 제고', '미래기술 투자 지원 확대' 등을 요청했다.
한대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