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日, 후쿠시마 처리수 22일 방류 시작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1010007075

글자크기

닫기

최영재 도쿄 특파원

승인 : 2025. 10. 21. 08:33

日정부, 안전성 확보와 투명성 강조
화면 캡처 2025-10-21 082539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연합
일본 정부는 오는 22일부터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방사성 처리수를 해양에 방류할 예정이다. 이번 방류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발생한 원전 사고 이후 오염수 처리 문제의 최종 단계로 여겨진다.

정부는 방류 전 고농도 방사성 물질을 처리하는 ALPS(다중핵종제거설비) 기술로 오염수를 정화했으며, 국제적 규격에 부합하는 안전 기준을 충족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국내외 환경단체와 인접국들은 여전히 안전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강력한 반대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방류 과정에서 환경과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에 광범위한 환경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방류는 방사능 농도를 법적 기준 이하로 낮춘 후, 장기적이고 점진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후쿠시마 주변 해역에 대한 지속적 감시와 데이터 공개도 강화할 예정이다.

방류 결정에 대해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일본의 방류 계획과 안전 관리 체계를 평가해 국제 기준에 부합한다고 보고 있다. 이번 조치는 국제사회에서 어느 정도 합법성과 타당성을 인정받은 상태다.

반면 한국, 중국 등 인접국과 태평양 연안 국가들은 우려를 표명하며 일본 정부의 투명성과 신뢰성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해양 방류가 장기적으로 인근 국가들의 해양 생태계 파괴, 수산물 안전성 저하, 국민 건강 위협 등 심각한 국제 환경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은 방류 금지와 책임 있는 처리 요구를 국제무대에서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과 인접국 간 외교적 긴장이 심화하는 양상이다.

일본 국내 후쿠시마 주변 지역 주민들도 방류 결정에 대해 복잡한 감정을 품고 있다. 일부 어민들은 생산하는 수산물의 안전성에 타격을 입을 것을 우려하며 시위와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으며, 경제 회복에 중대한 악영향이 우려된다.

반면 일본 정부는 투명한 정보 공개와 지원 정책을 강화해 지역 주민의 불안 해소에 힘쓰고 있다. 최근 들어 방류 계획과 관련된 여론은 일본 내외에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제 사회의 환경 단체들도 수년간 반대 운동을 계속해왔다. 일부 전문가들은 방류가 과학적 기준에 부합하고 장기적 환경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평가하는 반면, 장기적 생태계 영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지속적 감시와 국제 협력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한다.

결국 후쿠시마 처리수 해양 방류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이 마주한 최후의 난제 중 하나다. 과학, 환경, 외교, 경제적 측면에서 다각적인 관리와 협력이 필요하다. 일본 정부가 얼마나 투명하고 책임감 있게 이 문제를 다루는지가 향후 국제 신뢰 회복과 동북아시아 해양 환경의 안정성 확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최영재 도쿄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