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인터뷰] 유재춘 서울축산새마을금고 이사장 “새마을금고 생존 위해 중앙회 혁신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17010005758

글자크기

닫기

이선영 기자 | 김민혁 기자

승인 : 2025. 10. 19. 17:58

PF 손실·뱅크런에 흔들리는 새마을금고
중앙회, 금고 위한 조직으로 재정립해야
분담금 완화 및 검사·제재권 분리 시급
유재춘 새마을금고 이사장
유재춘 서울축산새마을금고 이사장. /서울축산새마을금고
"새마을금고 생존을 위해서 중앙회는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해야 한다."

지난 15일 서울 성동구 동일로에 위치한 서울축산새마을금고에서 만난 유재춘 이사장은 새마을금고중앙회의 혁신을 촉구하며 이같이 말했다. 새마을금고가 사상 최대 손실을 기록하며 존립 위기에 놓였다는 판단에서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1조7423억원의 순손실을 낸 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1조3287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손실과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 등의 여파로 일선 금고들이 경영난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유 이사장은 새마을금고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위해 '중앙회혁신위원회' 신설을 제안했다. 그는 "중앙회는 권한 이양과 함께 금고를 위한 조직으로 재정립하고 금고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며 "과감한 금고 지원을 위해 중앙회는 많은 이익이 필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일선 금고들이 손실을 내고 있는 것과 다르게 중앙회는 지난해 3107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금고가 중앙회에 납부하는 분담금 부담을 줄이거나 부실채권 매각 수수료 등을 면제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유 이사장은 "금고들이 중앙회에 내는 분담금 종류만 31개에 달한다"며 어려울 때에는 중앙회가 허리띠를 더 조여서 일선 금고들의 부담을 덜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법정적립금을 금고 손실을 보전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중앙회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신협, 농협은 법정적립금을 손실 보전에 사용하고 있다"며 "새마을금고도 한시적으로라도 금고 손실을 보전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중앙회에서 법적인 부분을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유 이사장은 중앙회가 검사와 제재 권한을 모두 갖는 현 구조를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한 조직이 수사도 하고 판결도 내리는 셈이다. 객관성과 공정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검사권과 제재권의 분리를 제안했다. 또한 이사장이 참여하는 제재심의위원회와 재조사위원회를 신설해 공정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제도 개혁만큼 중요한 것은 새마을금고의 지속가능한 성장이다. 그는 새마을금고를 미래 세대로 이어줄 새로운 사업에 대한 구상도 마쳤다. 중앙회에 별도 부서로 가칭 '미래 먹거리 창출 연구소'를 만들어 개별 금고에 대해 다양한 수익 방안을 제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이사장이 구상하는 미래 먹거리는 지역과 상생을 이끌어가는 '지역밀착형'이라는 키워드가 숨어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의 제도권 편입을 꾀하고 있는 시중은행과 새마을금고의 현실을 비교하며 '참여형 화폐'를 제시했다. 유 이사장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새마을금고가 먼저 회원과 지역공동체를 동시에 이롭게 할 수 있는 참여형 화폐로 설계해 '쓰는만큼 돌려준다'는 새로운 브랜드 스토리를 창출해야 한다"며 "새마을금고 이미지도 개선하고 금고와 회원에게 실익을 가져다 줄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초고령 사회 진입에 따른 새로운 아이디어도 제시했다. 일부 새마을금고에서 도전하고 있는 요양업 진출과 연계한 것이다. 유 이사장은 "새마을금고가 평생 금융 파트너임을 입증해야 한다"며 "회원의 노후와 주거, 의료, 문화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시행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앙회는 금고가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새마을금고는 지역민들의 경제적 자립 도모와 환원사업을 늘리는 등 새마을금고 정체성 확립을 통해 새롭게 '신뢰의 MG'를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중앙회에서 적극적으로 관련 업무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선영 기자
김민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