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빨갛게 보이는 게 다 상가 매물”…강남에 무슨일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5010012216

글자크기

닫기

김지항 기자

승인 : 2025. 08. 25. 16:52

서울 주요상권 공실률 15.2%
신사동 가로수길 43.9% 달해
논현_가로수길 공실 근황
서울 강남구 논현동, 신사동 가로수길 일대 상가 공실 현황./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서울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 일대 상가 매물 지도가 온라인을 뜨겁게 달궜다. '논현동·가로수길 공실 근황'이라는 제목으로 퍼진 지도 캡처에는 신사역과 논현역, 학동역, 선릉역 일대까지 상가 매물이 빼곡하게 표시돼 있다.

사진을 본 누리꾼들은 "저 빨간 게 다 매물이라니 상권이 완전히 무너진 듯하다", "강남대로변에도 온통 공실이다"라는 반응을 보이며 상권 침체를 체감했다. 실제 통계도 비슷한 흐름을 보여준다. 18일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서울 7대 상권(명동·강남·홍대·가로수길·한남이태원·청담·성수)의 평균 공실률은 15.2%로 전 분기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명동과 성수를 제외한 주요 상권이 모두 두 자릿수를 기록했으며, 특히 가로수길은 43.9%로 가장 높은 공실률을 나타냈다.

가로수길 임대 안내문
19일 서울 강남구 가로수길 상점에 임대 안내문이 내걸린 모습./연합
상가 경매시장도 부진하다. 부동산 경·공매 데이터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상가 경매 낙찰가율은 60.1%로, 2017년(47.7%) 이후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낙찰률 역시 21.2%로 6년 만의 최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공실률과 낙찰률 동반 하락의 배경으로 높은 물가와 금리 부담, 오프라인 소비 위축, 최저임금 인상 여파로 인한 창업 감소 등을 꼽는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가로수길은 과거 '핫플레이스' 이미지로 임대료가 과도하게 올랐지만, 코로나19 이후 유동인구가 회복되지 못하면서 구조적인 수익성 악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상가 매물 증가는 단기 현상이 아닌 구조적 조정의 신호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 외 지역도 상황은 비슷하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국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13.4%로 전 분기보다 상승했고, 소규모 상가(7.3%→7.5%)와 집합 상가(10.3%→10.5%) 공실률도 일제히 올랐다.

김지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