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최태원 “AI는 안보… 韓, 세계가 벤치마킹할 테스트베드 될 것”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9010011691

글자크기

닫기

경주 이지선 기자

승인 : 2025. 10. 28. 18:01

AI, 기업 경쟁 넘어 국가 성장 엔진
한국의 '빠름'으로 모범사례 기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등 생태계 확장
글로벌 리더들 "韓, AI주도 가능성"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8일 APEC CEO서밋 부대행사 퓨처테크포럼:AI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제공=SK
"AI를 빼놓고 비즈니스를 말할 수 없습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다시 한번 강조했다. 세계를 뒤흔드는 관세 문제 또한 AI와 연계될 정도로 각국은 'AI 전쟁'을 벌이고 있다는 판단이다. 이제 최 회장은 국가간 격차를 줄이기 위한 해법을 모색할 시점이라고 보고 있다. 특히 최 회장은 한국만의 '빠름'으로 AI 시대를 선도해 나가며 다른 국가들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픈AI와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나,  울산 AI 데이터센터 건립 등을 기반으로 대한민국이 세계의 '벤치마킹'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란 포부다. 

28일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SK그룹 주관으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는 'AI 시대의 도전과 기회, 국가 AI 생태계 전략과 해법 모색'을 주제로 미국, 싱가포르, 페루 등 APEC 주요 참가국에서 정부, 기업, 학계 등의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국내에서도 글로벌 AI 정책과 산업 현장에 대해 AI 리더들과 교류하려는 여러 인사들이 현장을 찾았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이날 포럼 환영사에서 "AI는 기업 간의 경쟁에서 이제 국가의 성장 엔진이고, 안보 문제가 되고 있다"며 "미국은 자국 기술을 전 세계에 확산시키겠다는 아이디어와 전략적 목표를 토대로, 중국은 기술 자립을 기반으로 AI 경쟁력을 강화하려고 하고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미국이나 중국뿐만 아니라 빅테크 기업들도 AI 투자규모를 막대하게 키우고 있다"며 "대규모 투자가 일어나는 만큼 이에 따른 결과도 격차가 더욱 커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결국 현재는 이 격차를 줄여나가는 해법이 필요하다는 게 최 회장의 인식이다. 최 회장은 "정부와 협력해 민관 협력 기반의 컴퓨팅 인프라 구축 사업,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등을 개발하고 있다"며 "이뿐만 아니라 글로벌 플레이어와도 협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 일환으로 SK그룹이 현재 진행하는 여러 협력 사례도 소개했다. SK는 오픈AI와 함께 스타게이트협력으로 AI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울산 AI 데이터센터를 건립해 생태계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최 회장은 "기술 자립과 신뢰 기반의 협력을 이룬 한국의 프로젝트는  다른 나라들에서도 참고할 만한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발전이 빠른 만큼 공급 부족 해결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지금도 AI 센터를 많이 지어야 하는 상황에서 칩(반도체)부터 에너지까지 모두 병목현상을 일으키고 있다"며 "한국이 이를 모두 해결할 수는 없지만, 우리나라가 새로운 것에 빠르게 적응하는 스피드를 가진 만큼 일종의 '테스트베드'가 될 수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최 회장은 "과거에 인터넷, 모바일 역사에서 증명해 냈듯 AI 역시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확산되고 진화할 것"이라며 "AI 모델을 직접 개발하면서도 효율적이고 비용을 적합하게 맞출 수 있는 형태로 움직여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또한 "데이터 발굴 또한 먼저 가장 효율적으로 만들어 낸다면 전 세계 많은 국가들과도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아직 형성되지 않는 규제나 규칙도 만들어 나갈 예정으로, 상당히 빠르게 움직이면서 세계 각국의 모범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퓨처테크 포럼에는 최태원 회장과 하정우 대통령비서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맷 가먼(Matt Garman) 아마존웹서비스(AWS) CEO, 최수연 네이버 대표, 김경훈 오픈AI코리아(OpenAI Korea) 총괄대표,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사이먼 밀너(Simon Milner) 메타(Meta) 부사장 등 AI 업계를 선도하는 국내외 인사들이 연사, 토론 등으로 함께했다.

맷 가먼 AWS CEO는 SK그룹과의 협력 사례를 AI 인프라 생태계구축의 중요한 프로젝트로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AWS는 파트너와 함께 생태계를 확장해 왔다"며 "SK그룹을 비롯한 파트너와 함께 협력중심의 접근으로 AI발전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또한 한국이 AI G3국가가 되겠다는 의지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한국의 AI 생태계 구축을 위한 노력이 세계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란 데에 동의하면서다. 그는 "한국은 AI 생태계를 주도할 수 있는 강력한 나라"라며 "메타 또한 함께 생태계를 발전시켜 나가고 싶다"고 말했다. 
이지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