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넥슨에 따르면 넥슨(일본법인)의 종일 전가는 3768엔(약 3만5481원)으로, 지난 11일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3600~3700엔대를 유지하며 강세를 보여왔다. 이는 지난 2021년 4월 이후 약 4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이처럼 넥슨의 기업 가치가 상승한 이유로는 이정헌 넥슨 대표이사의 IP 성장 전략이 성공적으로 안착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CMB 행사에 참석한 이정헌 대표는 존 주요 IP를 확장하는 '종적 성장'과 신규 IP를 발굴하는 '횡적 성장'을 양대 축으로 삼아 2027년까지 매출 7500억엔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우선 넥슨 대표작 '메이플스토리'의 국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배 성장했으며 '던전앤파이터'와 'FC' 프랜차이즈도 성장세를 보이며 종적 성장을 이뤘다. 또 지난 3월 출시된 '마비노기 모바일'을 포함해 홀해 출시된 신작도 횡적 성장을 견인하며 넥슨의 체질 개선을 이끌었다.
하반기에 출시된 신작도 흥행 궤도에 올랐다. 지난 10월 30일 글로벌 시장에 출시된 엠바크 스튜디오의 '아크 레이더스'는 지난 11일 기준 글로벌 누적 판매략 400만장을 돌파했다.
이정헌 대표는 "대표 IP 확장 전략에 따라 핵심 프랜차이즈와 신규 IP 모두의 성장에 가속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3분기 실적발표에서 밝힌 바 있다. 이에 넥슨 IP 확장 전략이 지속해 실적을 견인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