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네이버·서울대병원, 의료 특화 LLM ‘Kmed.ai’ 공개…한국 의료 맞춤형 AI 첫선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8010015245

글자크기

닫기

김영진 기자

승인 : 2025. 11. 28. 13:36

28일 '메디컬 AGI' 행사 개최
한국어 기반 의료 지식 특화
의료 특화 에이전트 플랫폼도 공개
[사진1] 네이버-서울대병원, 의료 특화 LLM 혁신해 의료진, 환자 만족도 높인다
김영태 서울대학교병원장(왼쪽)과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이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메디컬 AGI 행사'에 참석했다./네이버
네이버가 서울대학교병원과 공동 개발한 의료 특화 대규모언어모델(LLM) 'Kmed.ai'를 공식 발표하며 한국 의료 시스템에 최적화된 AI 기술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양 기관은 28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열린 '메디컬 AGI' 행사에서 이 모델을 공개했다. 행사에는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과 최수연 네이버 대표, 배경훈 과학기술부총리,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 김영태 서울대병원장 등이 참석했다.

네이버와 서울대병원은 한국어 기반 의료 지식에 특화된 LLM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Kmed.ai'는 임상문항 기반의 시험 환경에서 평균 96.4점을 기록해 의료 특화 성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해당 모델은 의료 현장에서 사용하는 임상 데이터와 진료 가이드라인은 물론, 국내 의료법과 SNUH ClinicalQA 등 다양한 한국 의료 데이터를 학습했다. 여기에 서울대병원 의료진의 직접적인 피드백이 더해져 한국 의료 시스템과 진료 문맥을 깊이 이해하는 AI로 완성됐다는 평가다.

네이버는 이번에 의료 특화 에이전트 플랫폼도 함께 공개했다. 이를 통해 서울대병원 구성원은 문서 작성 보조, 진단 서포트 등 다양한 업무에서 AI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향후 기능을 확대해 안전성·정확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사진2] 네이버-서울대병원, 의료 특화 LLM 혁신해 의료진, 환자 만족도 높인다
김영태 서울대학교병원장(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등 관계자, 의료진 등이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메디컬 AGI 행사'에 참석했다./네이버
이해진 의장은 "네이버와 서울대병원이 함께 개발한 의료 특화 LLM이 의료진, 환자, 의료기관 모두에게 가장 안전하고 정확해야 하는 중요한 데이터를 지켜내고, 의료진의 효율성,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것이라고 믿는다"며 "한국의 의료 산업, 진료 상황, 의료법을 가장 깊이 이해하는 의료 소버린 AI의 성공 사례가 되길 기원한다"고 밝혔다.

김영태 원장은 "의료 AI는 국가전략기술로, 이번 성과는 한국 의료 소버린 AI 구축의 첫걸음이자 중요한 이정표"라며 "서울대병원은 환자 안전과 의료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AI 기반의 지능형병원 전환을 가속화하고, 국내 의료 AI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도약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의료 AI 개발과 더불어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도 선보이고 있다. 환자의 병력 정보를 온라인으로 수집해 의학 용어로 자동 변환해 기록하는 '스마트 서베이', 과거 검사 결과를 요약·정리하는 '페이션트 서머리' 등이 대표적이다. 또 제이앤피메디, 인바디, 세나클 등 국내외 헬스케어 기업에도 지속적으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김영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