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쓰는 사람만 이득 ‘아산페이’ 18% 할인 연말까지 연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6010007586

글자크기

닫기

이신학 기자

승인 : 2025. 11. 16. 08:46

지역 소상공인, 아산페이 '매출증대 지역상권 활성화'
아산페이 사용 모습
모바일 아산페이를 이용해 QR코드 방식으로 결재를 하는 모습. /아산시
"쓸수록 이득이고 안 쓰면 손해다"라는 역설적인 주장이 아산에서 입소문을 타고 있다.

충남 아산시가 지역경제 회복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위해 올해 말까지 아산페이 18% 할인 이벤트를 연장하고, 법인 대상 지류상품권 10% 특별 할인판매, 개인 지류상품권 구매 한도 30만원 상향에 따른 기대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16일 아산시에 따르면 올 한해 동안 국비 458억 1000만원, 도비 46억원 아산시는 2025년 한 해 동안 국비 458억 1000만원, 도비 46억 500만원 등 총 504억1500만원의 예산을 확보해 아산페이를 5500억원 규모로 발행하고 있다.

10% 선할인과 8% 캐시백을 결합한 '18% 할인 이벤트'는 행정안전부와의 협의를 통해 당초 11월 말 종료에서 12월 말까지 연장되어, 12월 31일까지 아산페이 10% 선할인과 8% 후캐시백이 유지된다.

시는 현재 보유 중인 지류상품권을 모두 활용해 기존 지류 발행액 50억원에서 75억원으로 25억원 증액 발행한다. 지류상품권 25억원 확대에 따라 개인 지류상품권 구매 한도는 20만원에서 30만원으로 상향해, 실물상품권을 선호하는 시민, 고령층, 소상공인 고객층의 이용 편의를 높일 계획이다.

또한 개인 중심이던 지류상품권을 한시적으로 법인도 특별 할인 구매할 수 있도록 확대하여, 법인당 최대 500만원 한도 내에서 1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단, 지류상품권은 10% 할인판매만 가능하고 8% 캐시백은 아산페이 앱(모바일, 카드)에만 적용되므로, 지류상품권은 8% 캐시백 대상에서 제외되며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다.

개인의 경우 아산페이 'chak' 앱을 통해 모바일 또는 카드로 구매하면 총 18% 혜택을 받아 지류상품권보다 8% 더 큰 혜택을 볼 수 있으며, 구매 한도도 지류 30만원 보다 앱(모바일, 카드)는 구매한도 100만원, 보유한도 200만원으로 실질 할인 혜택도 차이가 있다.

특히, 법인은 그동안 할인이 없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 특별판매를 통해 10%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다.

지류상품권 구매를 원하는 개인·법인은 관내 농협 등 82개 지정 판매대리점에서 본인(법인) 확인 후 구매할 수 있다.

유종희 시 지역경제과장은 "14세 이상이면 아산페이 모바일로 전국민과 외국인까지도 구입과 사용이 가능한 아산페이는 쓰는 사람만 혜택을 보는 구조로, 주변 사람들에게 아산페이 18% 혜택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본인과 본인 주변은 물론 타지역 친인척, 지인들에게도 아산페이로 소비를 하게 되면 18% 생활비 절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려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산페이(모바일·카드) 발행 운영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 소상공인 3명 중 2명은 "아산페이가 매출 증대와 지역상권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주요 소비처는 음식점, 학원, 병원 등 생활 밀착 업종 등 실생활과 밀접한 곳에서 주로 소비가 이뤄졌다.

아산페이는 대형 유통업체가 아닌 연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하여, 소비자가 할인 혜택을 받는데 그치지 않고, 지역 소상공인의 생존과 성장을 돕는 '윤리적 소비'의 주체가 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2025 ~ 2026 아산방문의 해를 맞아 방문 관광객들도 아산페이를 활요하면 18% 할인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런 내외부의 아산페이 소비가 다시 지역 매출로 이어지며, 지역 경제의 선순환 구조가 형성된다.

시는 이번 발행계획 변경과 25억원 한도 법인 할인판매를 통해 지역 내 소비를 조기에 이끌어 소상공인 매출 회복과 골목상권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신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