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中 중재로 미얀마 군정-소수민족 반군 ‘휴전’…‘총선 앞둔 군부의 승리’ 평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30010012949

글자크기

닫기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승인 : 2025. 10. 30. 10:44

Myanmar-Fighting <YONHAP NO-7734> (AP)
2015년 1월 12일 미얀마 북부 샨주 마웡 마을에서 따앙 민족해방군(TNLA) 대원들이 역대 미얀마 정부에 대항한 봉기 52주년을 기념하며 행진하고 있다/AP 연합뉴스
미얀마 내전의 핵심 격전지였던 북동부 국경 지대에서 군사정권과 소수민족 반군 간의 휴전이 성사됐다.

30일(현지시간) AP에 따르면 미얀마의 주요 소수민족 무장단체인 따앙 민족해방군(TNLA) 전날 성명을 통해 중국 쿤밍에서 27~28일 이틀간 열린 중재 회담 끝에 미얀마 군부와 휴전 협정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협정에 따라 휴전은 29일부터 즉각 발효된다.

이번 휴전 협정은 사실상 TNLA의 항복에 가깝다는 분석이다. TNLA는 성명에서 이번 합의의 대가로 자신들이 점령하고 있던 샨주 북부의 모메익과 전 세계 루비 생산의 중심지인 만달레이주 모곡에서 군대를 철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삼형제 동맹'의 일원인 TNLA은 지난 2023년 10월 '1027 작전'을 개시해 한때 12개 이상의 도시를 점령하는 등 군정을 궁지로 몰아넣었다. 하지만 군부는 중국의 1차 중재로 시간을 번 뒤 올해 4월부터 대대적인 반격에 나섰다.

특히 군부는 압도적인 공군력을 동원한 무차별 공습으로 반군을 압박했다. 공습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 수단이 없었던 TNLA는 결국 지난 7월부터 10월까지 샨주의 핵심 전략 도시이자 중국-미얀마 교역로의 중심지인 라시오·나웅키오·짜욱메·시포 등을 잇달아 군부에 다시 빼앗겼다.

이번 휴전은 군부의 이러한 군사적 승리를 공식화하는 동시에 반군이 추가로 점령지(모곡 등)를 내어주는 조건으로 공습 중단을 보장받은 굴욕적인 협상이라는 평가다.

미얀마 군정은 이번 휴전 합의에 대해 즉각적인 논평을 내놓지 않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엄청난 승리로 자축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2021년 2월 쿠데타 이후 계속되는 내전으로 국토의 상당 부분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한 군부에게는 큰 성과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군부는 오는 12월 28일부터 총선을 단계적으로 실시해 군정의 통치를 정당화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 총선은 아웅산 수치가 이끌던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을 비롯한 핵심 야당들이 모두 강제 해산당한 채 치러지는 반쪽짜리 선거다.

국제 사회와 전문가들은 이번 선거를 "군부 통치를 합법화하기 위한 명분 쌓기용 가짜 선거'"라고 맹비난하고 있다. 유엔 사무총장 역시 최근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미얀마의 총선이 오히려 불안정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군정 입장에서는 이 '가짜 선거'의 흥행을 위해서라도, 자신들이 주요 지역을 탈환하고 안정을 되찾았다는 것을 대내외에 과시할 필요가 절실했다. 이번 휴전은 군부가 총선을 앞두고 가장 큰 위협이었던 북동부 전선을 안정시키고 주요 교역로까지 확보하는 '일석이조'의 정치적·군사적 성과를 거둔 셈이다.


이번 휴전을 성공적으로 중재한 것은 중국이다. 중국은 미얀마 군부의 가장 중요한 외교적·군사적 동맹국이자 양국 국경 지대의 안정에 막대한 경제적·지정학적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

중국은 올해 초에도 한 차례 휴전을 중재하며 내전에 깊숙이 개입해왔다. 이는 내전으로 인한 국경 지대의 불안정과 사이버 사기 범죄 조직 창궐 등이 자국에 미치는 악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이번 휴전 역시 중국의 강력한 입김이 작용한 결과로, 미얀마 내전에 대한 중국의 절대적인 영향력을 다시 한번 입증한 사례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