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 간담회를 통해 "현재 국정감사가 진행 중이고 그 기간 중에는 자칫하면 어떤 언급도 추가적인 논란이 될 수 있어서 그에 대해 더 이상 언급은 피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정동영 장관은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두 국가론을 계속 주장할 것이냐"는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지금 논의 중"이라며 "평화적인 두 국가를 제도화하는 것이 바로 통일의 문을 여는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우리는 지금 두 국가로 못 가고 있기 때문에 통일로 못가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정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대한민국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로 한다'는 헌법 제3조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위성락 실장은 지난 9월 브리핑을 통해 "두 국가를 지지하거나 인정하는 입장에 서 있지 않다"며 "정부의 입장은 남북관계는 통일 될 때까지이 잠정적인 특수 관계라는 기본 합의서의 입장에 서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은 14일 브리핑에서 정 장관의 '두 국가 수용론'에 대해 "통일부 장관으로선 할 수 있는 말씀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