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남도, 한미 원자력산업 협력 실행과제 97조원 규모 정부 건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8010009968

글자크기

닫기

창원 허균 기자

승인 : 2025. 09. 18. 10:07

국내 원전기업 일감 확보·미국 신규원전 적기 건설 목표
경남도청
경남도청./ 경남도
경남도는 한미 원자력산업 협력과 글로벌 수출 기반 강화를 위해 '한-미 원자력산업 협력 실행방안'을 마련해 정부에 건의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실행방안은 한국의 '팀코리아' 협력체계, 표준화된 건설·운영 경쟁력과 미국의 혁신원자로 기술개발 역량, 대규모 내수시장, 연방정부 지원정책이 합쳐진 '팀 코러스(KORUS·Korea+US)' 결성을 통해 양국의 원자력산업 경쟁력 확보와 글로벌 시장 공동 진출을 목표로 한다.

도는 팀 코러스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4대 전략·10대 핵심과제·22개 세부과제에 총 97조 원 투자를 건의했다. △해외 및 미국 내 신규 대형원전 20기 수주 △소형모듈원전(SMR) 50기 수주 △대미 독자 수출 100개 기업 육성 △한·미 공동연구인력 1000명 육성을 목표로 한다.

특히 대형 원전과 소형모듈원자로(SMR) 분야를 동시에 겨냥한다. 미래 원자력산업 공동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핵연료 공급 협력·원전 유지보수·원전 해체 등 전주기 사업까지 협력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다.

원전 제조·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원전 제조 파운드리 조성 △제조 특구 지정 △SMR 설계 지원 △혁신제조 기술개발 △핵심 장비 국산화 △부품 시험·검사 등 기업 맞춤형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 원전 데이터의 표준화·활용을 위해△AI 플랫폼 △AI 기반 제작지원센터를 구축해 첨단 제조 생태계를 조성해 해외 수출 기업을 육성한다.

미국은 글로벌 빅테크기업의 데이터센터 운영을 위한 전력수요 증가 등으로 2050년까지 원전 발전 용량을 400GW(현재 기준 300GW 증)로 늘리겠다고 발표했으나, 장기간 원전건설 경험이 부재해 적기 신규원전 건설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반면, 한국은 해외 원전 제조·건설 경험을 통해 합리적 비용, 적기 준공, 높은 품질과 안전성을 증명했고, 운영·정비, 연료·기자재, 인력양성 등 전 주기에 걸쳐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인정받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원전 제조·건설 역량과 미국의 원전 시장·선진 기술력을 합쳐 미국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신규원전 적기 건설에 협력하고, 나아가 제3국 신규원전 건설까지 공동으로 참여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해나갈 계획이다.

윤인국 도 산업국장은 "경남의 제조역량과 한·미 기술협력, 탄탄한 금융·인허가 지원을 결합해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수출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며 "기업은 수주하고, 연구자는 성장하고, 지역은 함께 번영하는 팀코러스 모델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허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