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미, 러 원유 수입 中·인도 50~100% 관세 요구에 유럽 주저 이유, 대안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4010007250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9. 14. 07:04

트럼프 "나토, 러 제재·원유 구매 중단, 중국에 50~100% 관세 부과해야"
미, G7·EU에 중·인도 2차 제재 50~100 관세 부과 요구
FT "EU, 경제 영향·중 보복 우려"
영국, 러 원유 수입 관여 기업 제재 대안
트럼프 유럽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왼쪽부터)··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 등이 8월 18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우크라이나 종전 방안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A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와 주요 7개국(G7)에 대해 러시아와 러시아산 원유를 구매하고 있는 중국·인도에 대한 추가 제재를 요구했다.

하지만 유럽 국가들은 주요 교역국인 중국과 인도에 대한 고율 관세가 미치는 경제적 영향과 중국의 보복 가능성을 우려해 소극적이어서 그 대안으로 러시아산 원유 수입에 관여하고 있는 중국·인도 기업에 대한 제재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푸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 네번째)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다섯번째)이 8월 15일(현지시간)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 북부의 엘먼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에서 3대 3 협상을 벌이고 있다. 이 자리에 미국 측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두번째)과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특사(오른쪽)와 러시아의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 장관(왼쪽 두번째)·유리 우샤포크 크렘린궁 외교정책보좌관(왼쪽)이 배석하고 있다. /AFP·연합
◇ 트럼프 "나토, 러 제재·원유 구매 중단시 미국도 강력 제재...중국에 50~100% 관세 부과해야"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모든 나토 회원국이 러시아에 대한 제재에 동의하고 이를 시작하며,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중단하면 나는 러시아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단행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이어 "나토의 승리 헌신은 100%에 한참 못 미쳤고, 일부 국가가 러시아산 원유를 계속 사들이는 것은 충격적"이라며 "이는 러시아를 상대로 한 나토의 협상 지위와 협상력을 크게 약화한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토 전체가 중국에 대해 50∼100%의 관세를 부과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난 뒤 완전히 철회하는 방안을 추진하면 이 끔찍하고 어처구니없는 전쟁을 끝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러시아에 대해 강력한 통제력, 나아가 장악력도 갖고 있는데 이 강력한 관세가 그 장악력을 깨뜨릴 것"이 강조했다.

그러면서 "나토가 내 말대로 하면 전쟁은 신속히 끝나고 모든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렇지 않으면 그냥 내 시간과 미국의 시간·에너지·돈을 버리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중 무역협상
미국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왼쪽부터)·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스콧 베선트 재무부장관과 중국 허리펑(何立峰) 국무원 부총리·왕원타오(王文濤) 상무부장·리청강(李成鋼) 상무부 국제무역담판대표 겸 부부장이 6월 9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진행된 무역 협상에 앞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으로 미국 재무부가 제공한 사진./AFP·연합
◇ 트럼프 행정부, G7·EU에 중·인도 2차 제재 50~100 관세 부과 요구...FT "EU, 중·인도 제재 소극적...경제 영향·중 보복 우려"

아울러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이날 화상으로 진행된 G7 재무장관 회의에서 G7에 대해 러시아산 원유를 구매하는 중국과 인도에 즉시 2차 제재로 50~100%의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고 FT가 보도했다.

미국 재무부 대변인도 "중국과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전쟁 기계를 지원하고, 우크라이나 국민의 무의미한 살육을 연장시키고 있다"며 "이번주 초 우리는 EU 동맹국들에게 만약 그들이 자신들의 뒷마당에서 벌어지는 전쟁을 진정으로 종식시키고자 한다면 우리와 함께 의미 있는 관세를 부과해야 하며 이 관세는 전쟁이 끝나는 날 철회될 것이라고 분명히 밝혔다"고 전했다.

미국은 인도에 대해 상호관세율 25%에 2차 제재로 25%를 추가해 총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고, 중국과는 14일 스페인에서 4차 고위급 무역협상을 진행한다.

하지만 EU는 중국과 인도에 대한 고율 관세가 미치는 자국 경제 영향과 중국의 보복 가능성을 우려해 소극적이고, 특히 수주 이내에 인도 정부와 무역협정 체결을 계획하고 있다고 FT는 알렸다.

트럼프 스타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7월 28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미국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에 탑승하면서 손을 흔들고 있다./AFP·연합
◇ 영국, 러 원유 수입 관여 기업 제재 대안 트럼프에 제시

그 대안으로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에 관여하는 중국·인도 기업에 대한 추가 제재안을 17∼19일 영국을 국빈 방문하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안해 합의하도록 할 것이라고 조너선 파원 영국 국가안보보좌관이 말했다고 FT는 전했다.

영국은 12일 러시아산 원유 수송에 관여한 유조선 100척, 전자 및 화학제품·폭발물·기타 무기 부품을 러시아에 공급한 중국·터키 기업과 30여명의 개인에 대해 제재를 단행했다.

G7 메모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또 수천억 달러 규모로 동결된 러시아 국유 자산 압류를 요구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전면 침공한 2022년 2월 이후 동결된 러시아 국유 자산 대부분은 벨기에에 있다. EU는 이미 동결 자산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우크라이나 지원 자금으로 사용하기로 합의했지만, 독일·벨기에 등 많은 국가는 시장 불안전성과 법적 문제 발생 가능성을 우려해 해당 자산 자체를 압류하는 데는 신중한 입장이라고 FT는 지적했다.

이와 함께 미국은 러시아 최대 석유 기업 로스네프트에 대한 제재, 러시아 해운에 대한 더 강화된 금지 조치, 러시아 금 자체 결제 시스템인 미르(Mir)를 포함한 융 부분에 대한 제재를 촉구했다고 FT는 전했다. 미르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 대출 기관이 접근할 수 없게 된 벨기에 기반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를 대체한 시스템이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