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뒤늦게 “경제성 재검토”… 원점 복귀한 동해가스전 CCS사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6010012323

글자크기

닫기

배석원 기자

승인 : 2025. 08. 25. 18:16

산업부, 기재부에 예타 철회 요청
사업비 2.9조 예산감축 논의 무게
석유공사 CCS 사업일정 차질 전망
동해 가스전을 활용한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실증사업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단계에서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이 사업은 지난해 1월 기재부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 선정돼 그간 1년 반 넘게 조사가 진행됐지만, 최근 산업부가 돌연 기재부에 예타 철회를 요청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25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산업부는 지난 6일 기재부에 '동해가스전 활용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실증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철회를 요청했다. 이 내용은 이후 수행기관인 한국석유공사에도 통보됐다.

예타 철회 배경에는 해당 사업의 경제성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예타를 철회한 것은 경제성 검토 때문으로 경제성 재검토를 마친 이후 이번 주 내에 다시 기재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재신청할 예정"이라면서 "현재 예산보다 줄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사업은 동해 폐가스전을 활용해 연간 120만톤 규모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사업으로 당초 2조9529억원을 사업비로 책정했다. 산업부는 현재 내부적으로 이 예산을 감축하는 논의를 진행 중이다.

기존대로 예타를 끝까지 진행했어도 재정 당국의 경제성 검토 통과가 불확실했다는 우려도 섞여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예타가 지연·철회되면서 석유공사가 2021년부터 추진해 온 동해가스전 활용 CCS 사업 일정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당초 계획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사업 준비 기간으로 두고, 2026년부터 2028년까지 설계·건설을 거쳐 2029년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는 계획이었다.

해상플랫폼은 기존 동해 1가스전을 활용하고 해상에서 육상을 잇는 파이프라인과 터미널, 인입시설, 이산화탄소(CO10) 액화·저장시설 등이 구축돼야 한다. 이 사업은 울산과 부산 등 산업현장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허브터미널에서 압축·액화해 해저 파이프로 동해 폐가스전으로 끌어와 저류층에 주입·저장하는 방식이다. 2030년부터 본격 가동해 연간 12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수 있다고 홍보해 왔다.

이번 예타 철회와 관련해 석유공사 측은 별다른 입장이 없는 상태다. 공사 측은 정책이 먼저 결정돼야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인 만큼 현재로선 이렇다 할 것이 없다는 반응이다. 앞서 석유공사는 2020년 CCS 사업팀을 신설하는 등 관련 사업 기반을 준비해 왔다.

이번 예타 지연과 관련해 산업부 관계자는 "예비타당성 조사는 통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계속 검토를 해나가는 과정이고 기존의 사업 착수 시점이 늦어질 수는 있지만 목표 시점에 제대로 착수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다만 "사업비 변동 등 구체적인 조정·검토 사항에 대해선 공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배석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