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광주 군공항 이전 “무안군민과 정치인에 윽박지르지 말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1010010134

글자크기

닫기

무안 이명남 기자

승인 : 2025. 08. 21. 10:54

광주시민단체, 무안 군수 등에 군공항 이전 입장 요구 압박
무안이전반대범대위, 광주시민단체가 무안에 책임전가 시도
광주군공항
지난해 6월 무안군 일로읍 시가지에 상여를 차려놓고 광주군공항 무안이전 결사반대 제를 올리고 있다./이명남기자
광주군공항 무안이전반대 범대위는 성명서를 내고 광주 군 공항 이전을 요구하는 주체는 광주시임에도 불구하고 애먼 무안군과 정치인들을 윽박지르는 것은 '떡 줄 사람 생각도 않는데 벌써 김치국', '적반하장도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광주시의 응답을 요구했다.

21일 범대위에 따르면 최근 광주 시민단체가 광주 군 공항 이전문제와 관련해 서삼석 국회의원과 김산 무안군수에게 답변을 압박하며 책임 전가를 시도했다.

범대위 측은 "지난 6월 25일 광주타운홀 미팅 당시 김산 무안군수는 2018년 광주 민간공항 이전 합의문 파기와 광주 군공항 이전지역에 대한 1조원 지원 약속에 대해 광주시를 전혀 신뢰할 수 없다고 분명히 밝혔다"며 "이 행사를 직접 주관한 이재명 대통령도,생중계를 지켜본 국민들도 매우 공감했다"고 강조했다. .

하지만 "광주시는 그동안 내뱉은 각종 약속들이 무책임하다는 사실로 들통나자 슬그머니 꽁무니를 빼고 광주 군 공항 이전 대통령실 TF만 바라보며 나몰라라 하고 있다. 마치 손 안대고 코 풀려고 하는 속셈이 아닌가 의심스럽다"고 비난했다.

광주 민간공항은 당초 무안국제공항 설립 때부터 국가계획과 2018년 광주시·전남도·무안군의 3자 협약까지 무안국제공항으로 통합되는 것이 당연한 순리였지만 광주시는 그동안 군 공항 이전 결부, 무안공항 명칭 변경 등 이런저런 이유로 생떼를 부리며, 민간공항 이전은 요지부동이다.

광주 민간공항 선(先) 이전은 광주 군 공항 이전문제 해결의 시발점이자 무안국제공항 활성화라는 대승적 차원에서 조속히 이뤄져야 마땅할 것이다.

범대위는 "강기정 광주시장은 2023년 기자회견에서 2016년 건의 당시 군공항 이전 지원사업비인 4508억원의 배가 되는 1조원+α 지원 대책을 운운했지만, 타운홀 미팅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광주시 1조원 있어요?"라는 질문에 똑부러지게 답변을 못하고 얼버무렸다"며 "실현가능한 재원 마련 계획조차 없고, 책임 있는 자리에서 동문서답으로 일관하는 광주시장의 말을 어찌 신뢰할 수 있단 말인가"며 비판했다.

이어 "2024년 기준 광주시의 부채가 2조 1000억원에 달하고 도시철도 2호선 건설사업, 호남고속도로 확장사업 등 굵직한 현안 사업비가 어마무시한데, 무슨 수로 1조원이라는 막대한 돈을 무안군에 지원하겠다는 것인지 도무지 납득이 가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새로 취임한 국방부 장관은 군 공항 이전사업의 현행방식인'기부대양여'원칙을 고수하고 있어, 국가사업으로 전환되지 않는 이상 광주시의 재정 여건과'기부대양여'방식이 병립해 사업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광주시민 140만 명을 대표하는 강기정 광주시장은 광주 민간공항 선 이전과 1조원 지원 등 언행의 신뢰성을 보이고, 진정성 있는 자세로 응답하기를 거듭 촉구했다.

한편 지난 14일 광주광역시 시민사회가 김산 무안군수와 더불어민주당 호남발전특위 위원장을 맡은 서삼석(3선·전남 영암·무안·신안) 의원에게 광주군공항의 무안 이전에 대한 입장을 밝히라며 압박했다.
이명남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