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극한 기후에 ‘물 부족’ 현실화… 인프라 한계 노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1010009900

글자크기

닫기

최인규 기자

승인 : 2025. 08. 20. 18:00

韓 삼면 바다에도 '물 스트레스국가'
저수율 20% 지자체 제한급수 조치
"댐 확충·빗물받이 의무화 등 시급"
극심한 가뭄으로 20일 오전 9시부터 계량기 50%를 잠금하는 제한급수에 들어간 강원 강릉시가 남대천에서 용수 확보 작업을 하고 있다. 이 사업은 시의 주요 상수원인 오봉저수지 저수율이 이날 기준 21.3%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자 저수지 아래 남대천의 물을 오봉저수지로 관을 통해 끌어 올리기 위한 것이다. /연합
대한민국의 '물 부족'이 현실화하고 있다. 가뭄 현상이 발생하면서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물 사용량을 강제로 줄이는 제한급수까지 단행했다. 극한 기후에 대비할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춰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릉시는 20일 물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이는 제한급수를 시행했다. 시 차원에서 계량기를 50%만 열어놓고 물 공급량을 억제하는 것이다. 시는 오는 28일께 저수율이 15%로 떨어질 것으로 보고 계량기를 75%까지 잠그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경우 시민들이 물을 마시고 샤워를 하는 등의 일상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강릉시에 한정된 일이 아니다. 지난 2015년과 2017년 충남 보령댐도 저수율이 20%를 한참 밑돌면서 보령·서산·당진·서천·청양·홍성·예산·태안 등 8개 지자체가 제한급수를 시행했다. 2009년 태백시도 같은 현상으로 제한급수를 시행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에 둘러싸여 있지만 물이 풍부한 국가가 아니기도 하다. 지난 2003년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로부터 1인당 연간 물 사용량이 1000~1700㎥인 '물 스트레스 국가'로 지정됐다. 여기에 최근 폭염과 폭우가 반복되는 극한 기후까지 더해지면서 가뭄 현상이 빈번해지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 진단이다. 이와 관련해 김승배 한국자연재난협회 본부장은 "날씨를 예측하기 힘들지만, 이에 대한 대비 인프라가 잘 안 갖춰져 있는 게 사실"이라며 "저장량을 대폭 늘린 댐을 확충한다거나 가정용 빗물 받이 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등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최인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