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창간기획] 순찰 로봇부터 범죄 예측까지… ‘디지털 경찰’ 시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0010004481

글자크기

닫기

최인규 기자

승인 : 2025. 11. 10. 06:00

시범 도입한 순찰로봇 야간범죄 예방
AI 기술, 딥페이크 범죄 확산 방지도
지난달 22일 열린 경찰청 국제치안산업대전에서 순찰형 로봇이 움직이는 모습. /제공=경찰청
'AI 혁명'은 단순한 기술적 발전이 아니다. '대한민국 치안'까지 책임지고 있기 때문이다.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순찰형 로봇부터 허위 콘텐츠를 판별하는 기술까지 우리의 '평화로운 일상'을 지키고 있는 것이다. 이는 때마다 논란이 되는 보이스피싱, 딥페이크 범죄만 지능화하고 있는 게 아니라는 얘기다. 현재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AI 기술에 경찰청이 주력하고 있는 'K-치안'은 더 많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경찰이 AI 기술을 적용해 시범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는 '순찰 로봇'이다. 이 로봇은 서울뿐만 아니라 경기, 충청 등 곳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로봇의 주된 기능은 자율적으로 주행하면서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하고 실시간으로 담당 경찰관에게 내용을 전송하는 것이다. 이는 범죄가 취약한 야간 시간대에 주로 쓰인다. 사건·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24시간 순찰하는 경찰의 역할을 보조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열화상 카메라를 탑재해 온도 변화를 감지하고 화재를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실제 불이 나면 경찰과 소방에 자동적으로 신고하고 '초기 진화'에 나서는 기능이 있다. 소화기까지 장착돼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누군가 흉기를 들고 있다거나 "살려 달라"는 목소리도 인식할 수 있어 경찰이 '이상 범죄'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본적인 순찰은 물론 각종 '범죄 예방' 기능을 갖추고 있다는 게 경찰청 관계자 설명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로봇의 기능이 계속 발달하면서 다수의 지역에서 실증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다만 구체적으로 이를 어떻게 쓸지는 계속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나중에 상용화해서 일상 속에서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온라인상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가짜 영상' 등을 가려낼 수 있는 기술도 있다. 이 기술은 최근에 문제가 되고 있는 디지털 성범죄인 딥페이크, 보이스피싱 수사에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자칫 속을 수 있는 영상이나 목소리가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어 범죄 발생 초기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무분별한 범죄 확산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이른바 '가짜뉴스'도 감지할 수 있다. 가짜뉴스 역시 퍼나르기식으로 피해가 빠르게 퍼질 수 있는 특성상 심각한 범죄 중 하나로 꼽힌다. 사실이 아닌데도 대중에게 사실로 인식하게 할 수 있어 가짜뉴스를 알아내는 기능은 현 시대에 여러모로 유용하다.

최초의 게시물에 대한 '추적 기술'로 게시자의 악의성 여부에 따라 처벌까지 할 수 있다. 과거엔 경찰관이 일일이 관련 내용을 찾으며 사실 관계를 파악한 뒤 '원출처'를 찾아야 하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지만 일정 수준 해결된 것이다.
최인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