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창간기획] 생활 속 침투한 AI…금융권 ‘투자자문·고객보호’에 활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30010013526

글자크기

닫기

윤서영 기자 | 손강훈 기자 | 이선영 기자

승인 : 2025. 11. 10. 06:00

은행 '고객상담' 증권 '투자자문' 보험 '자동심사'
clip20251109145556
3일 신한은행 숙명여자대학교지점에 방문한 고객이 'AI 몰리창구'에서 업무를 진행하는 모습/신한은행
금융권에선 이미 AI(인공지능)기술을 적극 활용해 고객 상담 서비스는 물론 투자 성향에 맞춘 포트폴리오 등을 자동으로 추천하고 있다. 은행들은 24시간 고객 상담 서비스나 보이스피싱 예방에 AI챗봇 기능을 도입해 고객 편의성을 크게 높였으며 증권사들은 AI가 자동으로 자산을 배분해 고객 수익률을 확대하는데 집중하는 모습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금융사들은 AI기반 상담·심사·투자자문 서비스 등을 출시하며 고객 편의성을 크게 높이고 있다.

먼저 은행권은 대표적으로 고객 상담 분야에 AI를 도입했다. KB국민은행의 '똑똑이', 신한은행의 '오로라', 하나은행의 'HAI', 우리은행의 '위비봇' 등 AI 챗봇 서비스를 운영 중 이다. 이들 챗봇은 24시간 고객 상담, 계좌 조회, 이체 업무 등 기본적인 은행 업무를 처리하며 비대면 접근성과 편의성을 크게 개선했다.

금융사고 예방, 리스크 관리 등 내부 업무 혁신에도 AI를 적극 활용 중이다. 시중 주요 은행 대부분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에 AI를 적용, 보이스 피싱 피해 원천 차단에 힘쓰고 있다. NH농협은행의 경우 머신러닝 기반 조기경보 모형을 적용한 'AI 신용감리시스템'을 가동, 우량 차주와 고위험 차주를 선별하고 부실 위험을 사전에 예측한다.

증권업계선 퇴직연금 시장에서 로보어드바이저(RA)를 적극 활용해 고객 성향에 맞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지난해 금융위원회가 개인형 퇴직연금(IRP)에 RA일임 서비스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하면서 시장이 확대됐다. 실제 코스콤 로보어드바이저테스트베드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RA운용 규모는 1조원을 넘어섰다. 일임형 RA는 투자자가 자산 배분을 직접 결정하지 않고 AI가 자동으로 운영하는 방식이다.

지난 6월 미래에셋증권이 'ISA 로보어드바이저'를 출시, 퇴직연금 자산에 적용하면서 연금 운용자산이 50조원을 넘어섰다. 최근 '퇴직연금 로보투자일임서비스'를 선보인 KB증권도 AI기반 알고리즘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투자자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자동으로 제공한다. 투자 지식이 부족하거나 연금 자산 관리를 하기엔 바쁜 투자자들에겐 안성맞춤인 방식이다.

특히 AI기반으로 시장 변동성을 실시간 반영하는 알고리즘의 정교함이 실제 수익률로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지난 4월 출시한 NH투자증권의 로보어드바이저 일임서비스는 업계 최고 수준의 운용 성과를 기록 중이다. 코스콤 테스트베드에 등록된 170개 적극투자형 퇴직연금 RA 중 'NH DNA 퇴직연금 Econex P'는 최근 6개월간 수익률 61.03%로 1위를 기록했고, 'NH DNA 퇴직연금 Floopin P'가 58.75%로 2위다. 삼성증권의 '삼성 퇴직Robo ETF형 P' 수익률은 56.46%로 3위를 차지했다.

보험사들 또한 이상금융거래·보험사기 사전탐지머신러닝 기반 생성 AI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삼성생명의 경우 'AI활동비서'를 통해 컨설턴트 영업력 향상을 지원한다. 교보생명도 재무설계사(FP)를 위한 '보장분석 AI 서포터', 'FP소장 AI어시스턴드', 임직원을 위한 'AI데스크' 등을 운영한다. 한화생명도 AI 활용 가속화를 위해 '인공지능 컨택센터'를 오픈했으며 'AI 진료비 표준화기술' 등을 선보인 바 있다.

삼성화재는 'AI의료심사'를 도입해 보험 심사 프로세스를 고도화했으며, 장기보험 청약 심사 과정에도 AI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DB손해보험은 AI 기술인 음성 문자 변환(STT), 문자 분석(TA) 솔루션을 도입해 텔레마케팅(TM)-품질보증(QA), 콜 완전판매모니터링(해피콜) 업무에 적용하고 있다. 현대해상은 AI 자동심사 프로세스 '2Q-패스'를 가동하고 있으며, 장기보험 밸류체인 핵심 영역에 AI 어시스턴트를 단계적으로 도입 중이다. KB손해보험은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AI 에이전트' 서비스 개발을 완료하고 업무에 본격 도입했다.
윤서영 기자
손강훈 기자
이선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