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외형확장·수익회복 과제… “등기이사 복귀로 드라이브 걸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3010008514

글자크기

닫기

이서연 기자

승인 : 2025. 10. 22. 18:53

<이재용3년, 족쇄 푼 100일-中>
취임 3주년 앞두고 경영 재편 나서
거버넌스 정상화 등 '뉴삼성' 시대
매출 500조·반도체 초격차 복원 등
글로벌 리더십 재구축 시동 본격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대법원에서 무죄를 확정 받은 지 100일가량이 지나며 10여 년간 이어진 사법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됐다. 7월 17일 대법원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관련 자본시장법 위반 및 배임 혐의에 대해 무죄를 최종 선고하면서다. 오는 10월 27일 취임 3주년, 11월 1일 그룹 창립기념일로 이어지는 이번 시기는 삼성 내부에서도 '뉴삼성'의 분기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거버넌스 정상화와 외형 확장, 수익성 회복이라는 세 가지 과제가 '뉴삼성' 시대의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22일 재계에 따르면 11월 말, 12월 초 사장단 인사가 있을 전망이다. 재계관계자는 "등기임원 중 임기가 만료되는 인물이 없어 일단 수장급에는 큰 변화가 없다"며 "임원과 하부 조직도 현재 체제를 유지하면서 일부 대표이사가 될 수 있는 여지와 함께 소폭 인사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재용 회장의 등기임원 복귀 여부도 관심사다. 이 회장은 2019년 10월 등기이사 임기 만료 이후 현재까지 미등기 임원 신분으로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에 포함되지 않았다.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는 "법적 제약이 사라진 만큼 등기이사 복귀가 바람직하다"고 수차례 공개 언급하기도 했다. 복귀가 이뤄지면 이 회장의 역할에 따라 해당 조직에 대한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이 회장은 60세까지 3년도 채 남지 않았다"며 "경영 황금기를 사법 리스크로 소비한 만큼 이제는 본격적인 사업 드라이브에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거버넌스 정상화와 함께 외형 확장은 '뉴삼성'의 두 번째 숙제다. 삼성그룹 매출은 2022년 418조원에서 2023년 358조원으로 감소했다가 올해 약 400조원 수준까지 회복했다. 업계는 이 회장이 60세가 되는 2028년 전후로 그룹 매출 500조원 달성을 목표로 삼을 것으로 본다.

이를 위해선 '기존 주력사업의 초격차 복원'과 '신사업 확대'가 중요하다. 삼성전자는 반도체·디스플레이·모바일에서 기술 리더십을 되찾고 AI·바이오·모빌리티 등 미래 사업 투자를 늘리고 있다. 삼성전자의 R&D 투자액은 2022년 24조9000억원에서 2023년 35조원으로 확대됐고 올해는 53조6000억원까지 늘며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다만 신사업에 있어서는 M&A보다는 전략적 제휴나 공동개발 중심으로 방향이 잡히고 있다.

수익성 회복도 시급하다. 2024년 삼성그룹 영업이익은 27조352억원으로 SK그룹(27조1385억원)에 밀렸다.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 영업이익은 약 15조원으로 SK하이닉스(23조4673억원) 3분의 2 수준이다. 삼성전자 영업이익률은 5.9%로 2022년(12%)의 절반에 그쳤다. 과거 20%를 웃돌던 이익률 회복이 과제다.

선결과제는 AI 서버용 고대역폭메모리(HBM)의 기술 초격차다. 삼성은 지난해 하반기 HBM3E 8단 제품이 엔비디아 품질검증을 통과했고 12단 제품의 납품이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갔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2분기 HBM 점유율은 SK하이닉스 62%, 마이크론 21%, 삼성 17%지만 내년 HBM4 양산이 본격화되면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30%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도체와 AI 등 핵심분야의 인재확보도 중요하다. 이 회장은 인재와 일자리를 '뉴삼성'의 중심 가치로 제시하고 있다. 그는 2022년 취임 소회에서 "삼성은 인재와 기술을 가장 중시해 왔다.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인재를 모시고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6월 대통령 주재 경제단체 간담회에서도 "투자와 고용을 차질 없이 이행해 경제 회복에 기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삼성은 글로벌 인재 확보에 나서는 한편 산학협력 확대와 조직문화 혁신도 병행하고 있다.

한편 외부 변수도 만만치 않다. 홍기용 인천대 교수는 "상속세율이 과도해 장기투자 유인이 줄고 있다"며 "정부의 현실적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중 기술패권 경쟁, 반도체 수출 규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글로벌 리스크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이서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