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센터 이전 병행…업무 안정성 확보 방점
국민 불편 최소화 위해 수기 접수·대체
|
윤호중 행정안전부(행안부) 장관은 16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2차 회의를 열고 복구 현황과 향후 계획을 점검했다. 윤 장관은 "국정감사에서 제기된 지적사항을 엄중히 받아들이고, 정보시스템 관리체계를 근본적으로 재정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6시 기준 전체 709개 시스템 가운데 324개가 복구돼 복구율은 45.7%를 기록했다. 1등급 시스템 복구율은 77.5%에 달했다.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1등급), 정부원격근무서비스(2등급) 등 주요 서비스가 재개됐다.
정부는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보훈서비스, 법령정보서비스 등 1·2등급 미복구 289개 시스템은 10월 말까지 복구를 완료하고, 법제교육 등 기타 76개 시스템은 11월 20일까지 복구를 끝낼 계획이다. 복구 과정에서 접속 트래픽 급증에 대비한 사전 대응 방안도 마련한다.
윤 장관은 "정부는 '안전·보안·신뢰'라는 복구 3대 원칙에 따라 복구를 진행하고 있다"라며 "복구 과정에서 현장 인력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복구현장의 보안을 철저히 관리하며 복구 상황과 정보를 국민과 관계기관에 투명하게 공유하고 있다"고 했다.
특히 화재의 여파로 인한 건물 안정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대전센터 건물 구조진단을 실시했다. 신규 장비 도입 시 하중과 안전 기준을 면밀히 검토하는 등 안전 복구 절차도 병행 중이다.
윤 장관은 "대통령께서도 말씀하셨듯이 정보시스템은 국정운영의 신경망과 같다"라며 "각 기관에서는 정보시스템의 완전한 복구에 총력을 다해주시고 국민생명·안전과 밀접한 시스템에 대해서는 보다 더 세심히 점검하고, 국민 불편사항에 대해 적극 보완해 주시라고 당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