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세대로 확산된 안구건조증 원인은 ‘전자기기 사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31201010000199

글자크기

닫기

김시영 의학전문기자

승인 : 2023. 12. 01. 10:46

대한안과학회, 전국 성인남녀 500명 대상 안구건조증 대중인식조사 실시
대한안과학회, 안구건조증 대중인식 설문조사
/대한안과학회
안구건조증 원인으로 '전자기기 사용'이 가장 많이 지목됐다.

대한안과학회는 안구건조증에 대한 대중인식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마케시안 헬스케어와 함께 전국 20~60대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안구건조증에 대한 대중인식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기존 안구건조증 주요 원인으로는 노화가 꼽혔지만 젊은 환자들이 안구건조증 증세를 호소하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안구건조증에 대한 위험이 전세대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설문조사결과, '본인이 안구건조증에 걸리거나 걸릴 가능성이 높은 이유'를 묻는 중복선택 질문에 무려 설문 참여자 중 73.4%가 '전자기기(컴퓨터, 스마트폰 등) 장시간 사용'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이어 △미세먼지, 공해 등 대기환경(56.4%) △냉난방 기기 등 건조한 환경(53.0%) △노화(49.5%) △콘택트렌즈 착용(16.8%) △라식·라섹(16.6%)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는 질병 보유 또는 약물 복용(7.3%) 순으로 나타났다.

'전자기기(컴퓨터, 스마트폰 등) 장시간 사용'을 안구건조증의 원인으로 꼽은 응답자는 연령대별로 △50대(84.1%) △20대(76.8%) △30대(72.8%) △40대(65.7%) △60대(65.4%) 순이었다. 세대 불문 전자기기 장시간 사용이 안구건조증 발병의 주요 원인이라고 봤다.

'본인이 안구건조증에 걸릴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27.6%가 '이미 걸린 상태'라고 답했다. 그중 2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33.7%로 50대(33.6%)와 거의 동률을 이뤘고 △60대(27.4%) △30대(25.5%) △40대(18.8%) 순이었다.

'안구건조증의 치료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에 '건조한 증상이 가끔 나타날 수 있으나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다'고 답한 응답자는 △20대(41.0%) △40대(38.5%) △30대(34.0%) △60대(27.4%) △50대(22.1%) 순으로 나타났다. 젊은 세대가 중년 세대에 비해 안구건조증 치료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은 편에 속했다.

대한안과학회 등에 따르면 안구건조증 초기 증세로는 뻑뻑함, 눈 시림, 충혈, 이물감, 통증, 시력 저하 등이 있으며 조기에 진단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종수 대한안과학회 이사장은 "전자기기 보급화, 콘택트렌즈 사용 등으로 젊은 세대의 안구건조증이 발병률이 증가하는데 반해 상대적으로 경각심은 부족한 경향을 보인다"며 "눈깜박임 횟수를 감소시키는 전자기기 사용이나 에어컨, 연기, 대기오염 등 환경으로 인해 안증상이 악화되거나 시력 변화를 초래하는 경우 건성안을 의심해야 하며 초기에 안검진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시영 의학전문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