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AI교육 시대, 교사가 교육개혁의 주체…문제해결식 교육이 핵심”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30922010014063

글자크기

닫기

박지숙 기자

승인 : 2023. 09. 22. 17:22

국회예산정책처 개최 '공교육 디지털 개혁방안 토론회'
공교육 디지털 개혁방안 토론회
22일 국회에서 열린 공교육 디지털 개혁방안 토론회에 참석한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오른쪽)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대화하고 있다. /연합
디지털 교육 대전환을 위해서는 교사가 '교육개혁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인공지능(AI) 시대에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워야 할 지식은 단순 암기용이 아니라 문제 해결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이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정제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는 22일 국회예산정책처가 국회에서 개최한 '공교육 디지털 개혁 방안 토론회'에서 디지털 교육을 통해 학생 개개인에 맞는 '맞춤형 교육' 실현이 가능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교사의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교사와 AI의 협업을 통해 수업내용과 지식 전달은 물론, 학생 개개인의 정서적 측면까지 포함한 보다 폭넓은 의미의 개별화 교육 실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평균에서 벗어난 맞춤형 교육으로 가기 위해서는 교사 역량 강화를 통한 '하이터치 하이테크 교육'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특히 정 교수는 AI 시대 학생들의 자발성을 강조했다. 그는 "AI시대 학생들은 자신이 선택할 세부 전공이나 문제 해결을 위해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현재 학생들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의 절반을 바로 잊어버린다. 기억하고 있던 내용도 활용할 시기가 되면 시대에 뒤떨어진 지식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현재 교실에서는 지식을 전달하는 강의식 수업을 하지만 앞으로는 교사가 AI를 활용해 학생들에게 문제 해결 방법을 함양시킬 수 있는 창의 교육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정영식 전주교육대학교 교수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맞춰 현재의 6-3-3 학제를 무학년제로 바꾸고 평가 방식도 절대평가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자격 고사화하고, 고교 졸업 후에도 자유롭게 학점을 취득해 원하는 대학을 언제든지 갈 수 있게 만드는 등 대입 제도도 대대적으로 손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병권 국회예산정책처 예산분석실장은 디지털 교과서를 통한 맞춤형 교육이 실현되면 사교육비 경감과 교육 격차 해소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최 실장은 "AI 시대 교사는 지식 전달자에서 학생의 사회·정서적 지도자가 되며 수업 콘텐츠도 디지털 교과서와 AI 활용 콘텐츠로 다양하게 바뀔 것"이라며 "수월성 교육도 가능해지고 소득 차이에 따른 교육 격차도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 시장은 디지털 교육 대전환을 위한 재원과 관련해 김진표 국회의장이 지난달 대표 발의한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안'을 소개했다. 개정안은 현행 3%인 특별교부금 비율을 2024년부터 2029년까지 6년간 한시적으로 1%포인트 높은 4%로 조정하는 내용을 담았다.

한편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는 이날 "디지털 충격과 초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급감, 지역소멸 위기 등으로 인해 또 한 번 근본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며 "교실의 변화는 수업을 이끌어 가는 교사로부터 시작되므로 공교육 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량 강화와 변화를 위한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교사가 학생과의 인간적 연결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교사의 역할을 지식 전달자에서 학습 디자이너, 사회·정서적 지도자로 바꾸고, AI 디지털교과서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학생 개인의 역량과 배움의 속도에 맞는 맞춤 교육 체제로 전환하는 것이 바로 '하이터치 하이테크 교육'이 추구하는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 부총리는 김 의장의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안 발의에 대해 "국회의장께서 디지털 교육혁신의 방향을 지지하고 응원해 주셔서 교육부에 큰 힘이 되고 있다"고 감사의 뜻을 밝히기도 했다.


박지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