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근태 상근부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공영방송의 근간을 지켜야 한다는 KBS는 그 근간을 스스로 흔드는 모습만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며 "KBS는 음주운전, 무면허운전의 앵커를 검증없이 기용하고, 재방료를 제작사에 떠넘기는 등 방송사의 기본적 책무를 다하지 못했다"고 질타했다.
이어 "특정 진영에 치우친 편향 방송을 진행하고 이것이 무리가 되어 '검언유착 오보', '일장기 오보', '민주노총 오보 재녹화' 등 선을 넘는 오보 사태까지 이어져 왔다"며 "억대연봉을 받는 직원이 절반을 넘는 방만운영까지 생각하면 국민의 희생을 감수하며 수신료를 통합징수해야 할 명분을 생각해내기 힘들다"고 했다.
대통령실은 지난 5일 한국전력공사가 전기요금과 통합 징수해 온 KBS 수신료를 분리 징수하도록 법령을 개정하라고 방송통신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에 권고했다. 월 2500원인 KBS 수신료는 한전 전기요금과 함께 세금처럼 의무 징수돼왔는데, 이를 분리 징수하라는 것이다.
김의철 KBS 사장이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전임 정권에서 사장으로 임명된 제가 문제라면, 제가 사장직을 내려놓겠다. 대통령께서는 공영방송의 근간을 뒤흔드는 수신료 분리징수 추진을 즉각 철회해달라. 수신료 분리징수 추진이 철회되는 즉시 자리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힌데 대한 논평이다. 김 사장은 윤석열 대통령과 면담도 요청했다.
|
한편 KBS 내 이념 갈등도 격화되고 있다. KBS의 3개 노조 가운데 보수성향으로 분류되는 'KBS 공영노조' 조합원들은 이날 김 사장 기자회견이 열리는 KBS 아트홀 앞에서 그의 사퇴를 촉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KBS 공영노조는 편파 방송, 대통령실에서 3월부터 국민제안 토론으로 수신료 분리 징수에 대한 국민 의견을 청취하는 동안 사측이 어떤 대응을 했는지 등을 문제삼고 있다. 이날 오후에는 KBS 본관 커피숍에서 'KBS 소수 이사 기자회견'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들은 수신료 분리 징수에 대한 책임을 현 경영진과 이사진에 묻고 동반 사퇴를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