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밀도 회복·체중 증가 억제·면역 불균형 해소 등 유의미한 성과 거둬
|
25일 삼척시 수산자원센터에 따르면 그동안 성균관대 조재열 교수팀과 공동으로 '민물김 추출물의 건강 증진 및 갱년기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연구팀은 지난해부터 난소를 절제해 갱년기 상태를 유도한 실험 쥐를 활용해 1년여간 효능 평가를 진행했다.
그 결과 민물김 추출물을 섭취한 집단에서 갱년기의 대표적 호르몬 불균형 증상인 난포자극호르몬(FSH)과 황체형성호르몬(LH) 수치의 비정상적인 증가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 갱년기 여성의 주요 고민 중 하나인 급격한 체중 증가 현상도 유의미하게 억제됐다.
특히 노년기 삶의 질을 좌우하는 뼈와 근육 건강에서도 뚜렷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3D 정밀 촬영(Micro-CT) 분석 결과 민물김 추출물은 난소 절제로 인해 감소했던 골밀도를 회복시켰으며 근육 섬유화(노화)를 억제하여 근기능 저하를 막는 것으로 밝혀졌다.
면역학적 측면에서도 성과는 두드러졌다. 갱년기에 발생하는 면역세포의 불균형을 정상 수준으로 조절하여 면역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러한 효과가 체내 'AP-1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발휘된다는 구체적인 작용 기전(Mechanism)까지 규명해 냈다.
장기간 섭취에 따른 안전성도 확보했다. 실험 기간 간 수치(AST, ALT) 변화 등을 관찰한 결과 독성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민물김이 식용 소재로서 안전함을 확인했다.
시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민물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 예방용 조성물'과 '뼈 건강 개선용 조성물' 등 2건의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근기능 개선 관련 특허도 출원할 예정이다. 관련 논문은 내년 1월 중 완료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내년부터 민물김의 산업화와 보전을 위한 후속 연구에 돌입할 것"이라며 "일본 민물김 등 타지역 개체와의 유전적 차이를 규명해 삼척 민물김만의 고유성을 확립하는 '유전체 분석'과 안정적인 원료 공급을 위한 '서식 환경 정밀 분석'을 추진해 대량 생산(양식)의 기틀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