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성 손상 의료체계 방안 찾아야"
|
24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의료현장에서는 '응급실 뺑뺑이'의 원인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암 환자 및 중증 만성질환자의 응급 의료 수요와 이를 감당할 수 없는 필수 의료 인프라의 붕괴를 지목한다. 특히 생존율이 높아지며 '만성질환'의 성격을 띠게 된 암 환자들이 응급실 과밀화를 심화시키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이를 받쳐줄 인력과 시스템이 심각한 한계에 직면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재원환자가 많을 땐 3분의 1이 암 환자일 정도로, 만성질환자들이 응급실을 차지하고 있다"며 "암 환자들이 진료를 대부분 대형병원에서 받고 있는 실정에서 열이 펄펄 끓는 등 항암 부작용이 있을 때 2차 병원은 자료가 없어 대처하기 어려운 탓에 결국 대형병원 응급실을 찾게 된다"고 언급했다. 이 관계자는 "일부 병원은 암 환자 전용 응급실을 따로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현재 구급대원이 응급실 수배 전화를 돌리지 않게 하는 법안들이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데, 길에서 환자가 죽도록 방치하는 것보단 병원 수용을 늘리는 편이 나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보건복지부의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높은 의료수준으로 암 생존률이 늘고, 고령 인구가 증가하는 등에 따라 국내 암유병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암 유병자는 1999년 이후 암확진을 받아 2023년 1월 1일 기준, 치료중이거나 완치된 사람을 뜻하는데, 지난해 발표에 따르면 2022년 암유병자는 약 258만8079명으로, 전년(243만4089명) 대비 15만3990명 증가했다. 국민 20명당 1명 꼴이다. 문제는 고령화와 함께 앞으로도 이같은 문제는 심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외에도 총기 소유가 합법인 해외와 다르게 엄격히 금지된 한국은 신체의 두 가지 이상의 부위에 심각한 손상을 입는 등의 다발성 외상에 대한 의료 체계가 제대로 발전되지 못 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증 응급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최종 진료를 맡는 배후 진료과 의사가 당직으로 24시간 병원에 상주해야 하는데, 고질적인 의사 부족 문제에 대한 해법이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