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새벽배송 지켜달라…현관엔 ‘기사님 응원문구‘까지 붙었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0010010592

글자크기

닫기

정아름 기자

승인 : 2025. 11. 20. 10:58

새벽배송 금지 및 제한 반대 국회 청원 등장…1만3000명 동의
새벽배송
서울 시내 한 주차장에 쿠팡 배달 트럭들이 모여 있는 모습. / 연합


최근 민주노총이 새벽배송 금지 제한을 주장하면서 찬반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서비스 중단 가능성에 대한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20일 국회전자청원에 따르면 새벽배송 금지 및 제한 반대에 관한 청원글이 올라와 1만3000명 넘는 동의를 받았다.

중학생과 초등학생 두 자녀를 둔 한 맞벌이 가정의 학부모는 청원을 통해 "0시부터 5시까지 배송을 막는 건 새벽배송 금지와 다르지 않다"며 "맞벌이 가정과 학부모, 1인 가구 등 수많은 국민의 일상에 직접적인 피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마트가 닫힌 밤, 아이들이 갑자기 학교 준비물을 얘기할 때마다 새벽배송을 이용해 해결해 왔다"며 "아침에 문구점이 열 때까지 기다렸다가 사주고 출근해야 한다면 생활이 크게 불편해진다"고 했다.

또 "육아·가사·직장생활을 병행하는 상황에서 새벽배송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일상을 지탱하는 수단"이라고 말했다.



/스레드 캡쳐
스레드에는 새벽배송 기사를 응원하는 문구를 현관문앞에 붙여놓은 사진도 올라왔다.

반면 새벽 배송이 필수인 게 맞냐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다.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새벽 배송과 물류센터에서의 야간 노동 경험을 기록했다.

그는 "아침에 녹즙 배달을 한 지 두 달이 흘렀고, 최근 3주짜리 단기 알바를 추가로 시작했다"며 쿠팡 물류센터에서의 근무 경험을 소개했다. 박 전 위원장은 "8시간 노동에 19만 원을 받았다고 글을 올렸을 때 많은 기사가 쏟아졌지만, 그 금액은 신규 인력에게만 제공되는 일회성 프로모션이었다"며 "오래 일할수록 오히려 수당이 줄어드는 구조"라고 적었다.

박 전 위원장은 "생계가 급한 사람들이 선택 아닌 '강요된 선택'을 하게 되는 현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어떠한 노동은 누군가의 생계 그 자체이며 개인 의지로 해결되지 않는 구조 속에 있다"고 했다.

이어 "우리가 누리는 '빠름'과 '편리함'은 누군가의 시간과 몸을 비용으로 삼고 있는 구조일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그 구조를 그대로 둘 것인지 묻게 된다"고 지적했다.


정아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