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안보 파트너’ 새 브랜드로 유럽·중동 잇는 ‘K-방산벨트’ 구축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4010011938

글자크기

닫기

지환혁 기자

승인 : 2025. 11. 23. 17:43

李 '글로벌 4대 방산강국' 도약 주도
지역 표준·공급망 구축 등 맞춤 전략
유라시아 수출축 각인… 순방 효과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나스렉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제공=G20 조직위
이재명 대통령은 유럽과 아시아 대륙을 잇는 전략적 요충지에서 '안보 협력 파트너'라는 새로운 브랜드 가치를 제시하며 한국의 '글로벌 4대 방산 강국' 도약 기틀을 다졌다. 유럽의 안보 공백과 중동의 군비 증강 수요가 맞물린 상황에서 구축된 양 대륙을 관통하는 거대한 방산 벨트는 K-방산이 지속 가능 성장 동력이 될 것이란 점에서 이 대통령 순방의 외교적 성과는 크다.

23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중동지역 일대는 최근 5년간 한국무기 수출 증가율이 3배 이상 치솟은 '블루오션'이다. 한국의 대(對)중동 무기 수출 규모는 2019년 2억4106만 달러(약 3550억원)에서 지난해 7억4748만 달러로 급증했다. 중동지역은 지역 내 분쟁이 잇따르고 노후화된 무기 교체 수요가 확대되면서 K-방산의 '신속 공급·현지 맞춤' 역량이 중동국가들에 전략적 선택지로 작용했던 것이다.

이 대통령은 이번 아랍에미리트(UAE) 순방에서 K-방산 전략모델을 제시함으로써 150억 달러 규모에 달하는 방산사업을 공동 추진하기로 협의한 '100년 동행 공동선언'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 UAE는 이미 K-방산의 최대 수입국 중 한 곳이다. UAE는 2022년 4조6000억원 규모의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MSAM) 천궁-Ⅱ를 도입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후 UAE는 K9 자주포 도입 등을 추진 중으로 알려졌는데 이를 위해 국내 방산기업들은 공동개발 및 현지생산을 내걸고 '합작법인' 설립·기술이전 협력을 가속화하고 있다.

UAE에 정착할 전략모델이 성공하면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쿠웨이트 등 주변국들에게 미칠 파급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현재 국방을 핵심 정책으로 삼고 적극적으로 해외 방산기업들과 협력을 추진 중인 만큼 현지화를 통한 'K-방산 전략모델'이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국가 중 하나다. 사우디는 이미 2024년 4조2500억원 규모의 천궁-Ⅱ를 구매한 바 있어 K-방산에 대한 친근감도 있다. 사우디의 투자 여력과 한국의 일류 제조 능력이 결합하면, 중동 맞춤형 장비를 제3국으로 수출할 수 있는 '확산 플랫폼'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이집트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2022년 2월 2조원 규모의 K9 자주포, K10 탄약운반차, K11 사격지휘장갑차 등 패키지 수출에 합의했다. 당시 K9 자주포 현지 생산에 합의하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내년부터 이집트 현지에서 K9 자주포 양산을 시작한다. 이집트는 K-9 자주포 외에도 FA-50 경공격기와 공대지미사일 천검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K-방산의 수출 확장성이 크다. 특히 이집트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로 이어지는 수출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의지가 강한 것으로 알려져, 이집트를 발판으로 K-방산이 아프리카 전 지역으로 저변을 넓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이 대통령이 24일 방문하는 튀르키예 역시 한국과의 방산협력에 큰 기대감을 갖고 있다. 튀르키예 정부는 최근 이 대통령의 순방일정을 공개하며 "에너지, 방위산업 등 분야 협력을 논의할 예정"이라며 "양국 협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협정에 서명이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 순방을 계기로 K-방산이 폴란드에 K2전차, K9자주포, FA-50 다목적 전투기를 수출하면서 보여준 현지화 모델이 중동에서도 재현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동·북아프리카 현지에 단순한 완성품 수출 단계를 넘어선 '지역 표준·공급망 구축'을 통해 중동·유럽·아프리카 전 지역을 향한 수출 교두보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대통령 순방은 K-방산이 글로벌 산업플랫폼이자, 유라시아 수출축의 실질적 선두주자라는 점을 세계에 각인시킨 것"이라며 "다만 이 모든 것이 성공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선 제도적·금융적 지원을 비롯해 공급망·부품조달의 안정성, 기술·운영모델 고도화, 산업 생태계 동반성장 등이 장기적으로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지환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