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보이콧’ 美트럼프에 맞서는 결정 해석
‘남아공 정상선언’에 다자주의·기후 등 美 꺼리는 의제 담겨
|
이번 G20 정상회의에 대해 공개적인 보이콧 선언을 하며 정상선언 채택까지 반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 맞선 결정으로 해석된다. 특히 이번 '남아공 정상선언'에는 G20 정상회의의 주제인 '연대, 평등, 지속가능성' 등에 대한 논의 내용이 대거 포함돼 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메시지라는 해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남아공이 백인을 박해해 왔고 이번 G20이 반미주의 의제를 다룬다며 보이콧을 선언했다.
빈센트 마궤니아 남아공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회의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일반적으로 선언문은 회의 마지막에 채택되지만 정상선언을 첫 번째 의제로 삼아 먼저 채택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도 G20 1세션을 시작하면서 정상선언 채택과 관련해 "압도적 합의와 동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미국이 G20에 대한 보이콧 결정을 내린 상황 속에서도 이재명 대통령은 G20 정상선언 채택에 동참했다.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의 위상 강화와 다자무역체제 복원을 위한 여건 조성 차원이었다는 설명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20일(현지시간) 이집트에서 가진 브리핑을 통해 "(미국의 결정은) 다자주의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건 아니겠으나 우리는 기존의 국제 다자 외교 무대에서 역할을 하고 기여하려 한다"며 "나라들 사이에서 무역 원활화, 무역 기회 창출에 참여하려고 하는 것이 우리 입장"이라고 밝혔다.
G20 국가들이 채택한 'G20 남아공 정상선언'은 30페이지, 122개 항으로 구성됐다. 정상들은 이번 선언을 통해 "다자주의 정신에 기반해 합의에 따라 운영되고, 모든 회원국이 국제적 의무에 따라 정상회의를 포함한 모든 행사에 동등한 입장에서 참여하는 데 대한 우리의 약속을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2026년 미국 의장국 하에서 협력하고 2027년 영국과 2028년 대한민국에서 다시 만나기로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정상선언에는 지정학·지경학 경쟁 심화에 다자 협력을 통한 공동 대응, 저소득국들이 겪고 있는 가혹한 부채 상황 부담, 재생 에너지 및 기후 문제 등 미국이 꺼려하는 의제가 담겼다. 특히 세계무역기구(WTO) 규범에 모순되는 일방적인 무역 관행에 대한 대응을 천명한 내용도 포함됐다. 아울러 국제사회의 재난 대응 강화, 개발도상국에 대한 다방면의 지원, 인공지능·데이터 거버넌스 등 국제적 현안에 대한 협력 방안도 담겼다.
지난 1999년 창설 이래 처음으로 미국과 중국, 러시아 3국 정상이 모두 불참하는 사상 초유의 상황 속에서 개최된 남아공 G20 정상회의는 23일 '모두를 위한 공정하고 정의로운 미래'라는 주제의 3세션을 끝으로 막을 내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