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차관은 이날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 한반도 기후환경협력 포럼' 축사에서 "기후환경협력은 실용과 필요에 의한 협력"이라며 "남북이 공동의 위기에 대응하며 신뢰를 쌓고 평화의 기반을 확장하는 선순환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축사는 평화교류실장이 대독했다.
한국은 2035년까지 온실가스 53%~61% 감축을, 북한은 2030년까지 최대 52.4%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 차관은 이와 관련 "미래 세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목표치이지만, 우리 산업계에는 상당히 도전적인 목표"라고 짚었다.
이어 "북한의 높은 목표치도 내부적 대응이 아닌, 국제사회의 협력을 전제로 보고한 수치"라며 "남북 모두 기후위기 대응의 목표를 각각, 자체적으로 달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셈"이라고 했다.
그는 "그러나 남북이 협력할 때,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 수 있다"며 "전문가들은 북한의 산림을 남북이 함께 복원하고, 그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배분함으로써 남북 모두의 감축목표를 달성하는 가능성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는 이 분야의 교류협력 재개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미래지향적 협력모델을 발전시켜 나가고자 한다"며 국제기구·지방자치단체·민간단체와 지속해서 소통하며 '한반도기후환경협력 거버넌스' 구축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