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장헌일 원장 “지역사회와 교회를 잇는 돌봄목회, 교회 신뢰 회복의 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9000135051

글자크기

닫기

안정환 기자

승인 : 2025. 11. 09. 01:39

한기장복지재단,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따른 돌봄선교 실천전략 포럼’ 개최
장헌일 한국공공정책개발연구원장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 사진=한기장복지재단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총회장 이종화 목사) 산하 사회복지법인 한기장복지재단(이사장 복영규, 사무국장 김승종)은 지난 6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연합회관에서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따른 돌봄목회와 돌봄선교 실천전략 포럼’을 열었다.

이날 포럼에는 전국 각지의 목회자와 사회복지기관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해 내년 3월 시행을 앞둔 ‘돌봄통합지원법’의 취지와 실행 과제를 공유하고, 지역교회의 새로운 돌봄 모델을 모색했다. 포럼은 김승종 목사(한기장복지재단 사무국장)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한상일 이사(한기장복지재단)가 좌장을 맡았다.

◇ “교회의 위기 극복은 지역 돌봄에서 시작돼야”

이날 주제발표를 맡은 장헌일 원장(한국공공정책개발연구원장·신생명나무교회 목사)은 “한국교회의 위기 극복 방안은 ‘이웃과 지역사회의 돌봄과 소통’에 있다”며 “2026년 교회의 목회 방향을 ‘지역사회와 교회를 잇는 돌봄’으로 설정하고, 교회 공간을 열린 돌봄통합플랫폼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원장은 “돌봄통합지원법은 영국의 커뮤니티 케어법(1990), 일본의 지역포괄케어시스템(2013), 스웨덴의 재가돌봄서비스(1950)와 유사한 방향성을 지니고 있다”며 “초저출생·초고령사회로 인해 중앙정부 중심 복지체계가 한계에 봉착한 만큼, 기초자치단체 중심의 지역 돌봄통합체계 전환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국교회가 ‘통합돌봄선교’와 ‘통합돌봄목회’를 구축해 지역사회 돌봄의 거점으로 나설 때, 공공성과 신뢰성을 회복하고 교회의 본질적 섬김을 되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지역 맞춤형 돌봄 실천 사례 소개

20년 넘게 노숙인과 쪽방촌 주민을 섬겨온 장 원장은 서울 마포구 대흥동교동협의회 사례를 소개하며 “대흥동주민자치센터와 협력해 고독사 위험 가구를 발굴·지원하고, 무료급식, 노인대학, 의료봉사, 도시락 배달 등 지역 맞춤형 돌봄을 실천하고 있다”고 전했다.

◇ “지방분권과 협력체계 없이는 성공 어려워”

김용익 이사장(재단법인 돌봄과 미래)은 “돌봄통합지원법은 복지, 노동, 산업, 건설 등 여러 부처 간 협조와 지방분권이 동시에 이뤄져야 하는 고난도 정책”이라며 “보건복지부 중심의 사업별 지원 체계에서 벗어나, 기초지자체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구조로 전환되어야 정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우성구 목사(새날교회)는 “돌봄통합시대에는 지역주민운동의 관점에서 돌봄권과 기본사회, 주민 일자리 보장, 돌봄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며 “지역사회가 서로 돌보는 관계망을 조직하고 이를 재생산할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체계 구축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박종호 목사(전곡사랑교회), 신혜정 관장(가양5종합사회복지관), 이호영 사무총장(한국종교계사회복지협의회)이 ‘돌봄통합지원법 시행과 교회의 돌봄선교’를 주제로 논의했으며, 참석자들과의 활발한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한기장복지재단은 1995년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 산하 사회복지법인으로 설립돼, 현재 전국 16개 시·도 120여 개 복지시설에서 약 3,000명의 종사자가 활동하고 있다. 재단은 노숙인, 장애인, 노인, 아동, 여성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전문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며, “교회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복지 선교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 6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연합회관에서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따른 돌봄목회와 돌봄선교 실천전략 포럼’이 열렸다.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한기장복지재단
안정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