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에 저축은행이 정책금융상품 대출을 취급할 경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정부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저축은행들의 개인·중고기업 대상 여신 공급 부담도 한층 낮아지게 됐다. 저축은행업권은 부실 개선과 규제 완화라는 두 축을 바탕으로 내년부터 본격적인 실적 반등을 노린다는 구상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저축은행이 매각을 추진 중인 부동산 PF 사업장은 26곳으로, 지난 4월 말(124곳) 대비 98곳(79%) 감소했다. 새마을금고(57곳), 증권사(3곳) 등 다른 업권에 비해 부실 사업장 축소 속도가 특히 빠르다.
작년부터 잇따라 조성된 부동산 PF 정상화 펀드 역할이 컸다. 저축은행업권은 부실 PF 사업장 정리와 재구조화를 위해 지난해 330억원 규모의 1차 펀드를 시작으로 연이어 공동펀드를 조성해왔다. 올해 들어서도 3·4·5차 펀드를 속도감 있게 마련하며 부실자산 정리에 박차를 가했고, 그 결과 3분기까지 총 2조11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털어냈다. 이는 애초 목표치였던 2조원을 웃돈다.
저축은행중앙회가 이달 6차 펀드 조성 준비에 착수하면서 연내 부실 정리 규모는 약 2조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중앙회는 펀드 조성과 함께 부실채권 전문 자회사 SB NPL에 100억원 규모 유상증자도 추진한다. 유상증자가 완료되면 자본금은 약 105억원으로, 자본금의 10배 규모인 1050억원까지 부실채권 매입·처리가 가능해진다. 중앙회는 연내 매입 착수를 목표로 하고, 내년 추가 자금 확보를 통해 부실 처리 여력을 더 확충할 계획이다.
당국의 규제 완화도 긍정적 요인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5일 상호저축은행업 감독규정 개정안을 의결하며 영업구역 내 여신비율 산정 시 햇살론 등 정책금융상품의 가중치를 기존 100%에서 150%로 높였다. 저축은행은 총여신 중 50%(비수도권 40%)를 영업구역 내 개인·중소기업에 공급하도록 규제를 받고 있는데, 가중치 상향으로 규제 충족이 수월해져 서민금융 공급을 확대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된 셈이다. 구조조정 촉진을 위한 저축은행 M&A 기준 완화안도 같은 날부터 향후 2년간 시행된다.
효과는 이미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KBI그룹이 지난 7월 라온저축은행에 이어 지난달 상상인저축은행까지 인수하기로 하면서, 올해에만 3건의 M&A가 성사됐다. 최근에는 애큐온저축은행도 잠재 매물로 거론되고 있다. 부실 자산 정리와 규제 완화로 수익성과 건전성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저축은행의 M&A 매력도 함께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저축은행업권은 연내 부실 정리를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업황 회복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중앙회와 개별 저축은행이 한 뜻으로 부실 정리에 나서면서 예상보다 빠르게 정상화가 이뤄질 것이란 기대감이 크다"며 "서민금융 공급이라는 정책 방향에 맞춰 정부 규제가 추가로 완화된다면 수익성과 건전성 개선에 더 큰 탄력이 붙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