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박지숙의 서울ON] ‘정원도시 서울’, 도시의 외양을 넘어 생활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4010001439

글자크기

닫기

박지숙 기자

승인 : 2025. 11. 05. 06:00

올 서울국제정원박람회 1044만명 돌파, 내년엔 '글로벌 축제'로 확대
'정원도시 서울', 서울 브랜드 정책 '정착' 의미 커
속도보다 내실, 조성보다 시민참여…숲과 정원이 시민 생활로 스며들어야
2026년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지난 3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2026년 서울국제정원박람회 기자설명회가 예정된 가운데 해치와 함께 작은 정원이 꾸며져 있다. /정재훈 기자
박지숙의 서울ON 컷
올해 '서울국제정원박람회'가 누적 1044만 명의 방문객을 돌파하며 서울시가 추진해온 '정원도시 서울' 비전이 대표적인 성공 브랜드 정책으로 안착했다. 올해 10회를 맞은 정원박람회는 서울의 녹색 전환을 상징하는 행정 브랜드로 자리 잡았고, 서울광장 정원화 사업과 '5분 정원', '매력·동행가든' 정책도 잇따라 추진되며 '회색도시' 서울의 도시 이미지를 바꾸는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

서울시는 내년 정원박람회를 '명실상부한 글로벌 축제'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도심 전체를 정원으로 연결하는 '도심 속 정원벨트' 구상도 추진 중이다. 정원도시는 단순한 조경사업이 아니라 도시의 기후·환경·복지정책을 통합한 서울형 녹색전환 모델로 평가된다.

그러나 정원도시의 진정한 성공은 하드웨어의 변화만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서울연구원이 2021년 발표한 '서울시 녹지정책의 지속가능성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의 녹지정책은 조성 중심에 치우쳐 유지관리 체계와 시민참여 구조가 미흡하다고 지적됐다. 이에 서울시는 공간정보의 데이터화와 시민참여형 정원사업을 확충하며 대응하고 있다. '매력가든'·'동행가든'을 비롯해 '시민조경아카데미', '정원해설사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행정이 조성하고 시민이 관리하는 '참여형 생태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있다.

그럼에도 남은 과제는 뚜렷하다. 조성된 정원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인력과 예산 체계가 더 강화돼야 하고, 자치구 간 관리 격차와 예산 불균형도 해소돼야 한다. 또한 녹지 데이터의 일관성과 갱신 주기가 짧아 정원정책의 실질적 관리 도구로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평가도 있다.

특히 서울시는 내년 국제정원박람회를 "명실상부한 글로벌 축제"로 확대시키겠다고 밝혀 더더욱 이런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정원 관리 전문인력 확충과 시민참여 프로그램의 상시화가 필요하다. 숲과 정원에 대한 시민인식 개선도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정원도시'의 다음 단계는 속도가 아니라 내실과 지속성의 경쟁이다. 외관의 변화가 정책으로, 정책이 생활문화로 이어지려면 정원 행정이 시민참여와 유지관리라는 두 축 위에 서야 한다. 서울의 '정원도시' 비전이 진짜 뿌리내리려면, 꽃과 나무의 변화만큼 시민의 인식과 참여가 자라야 한다.

현재 시민정원사 인증제 및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조례 개정 등을 통해 제도화한 만큼 자치구 간 관리 역량과 예산 격차를 최소화하고 시민이 직접 참여하고 가꾸는 '참여형 정원문화'가 정착될 때, 비로소 '정원도시 서울'의 비전은 정책을 넘어 시민의 일상으로 완성될 것이다.

[포토] 제21대 대선 휴일 즐기는 시민들
지난 6월 서울 동작구 보라매공원에서 열린 '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를 찾아온 시민들의 모습/정재훈 기자
박지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