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대전·충남 행정통합은 국가 균형발전의 이정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3010000591

글자크기

닫기

대전 이진희 기자

승인 : 2025. 11. 03. 12:00

성일종 의원 등 주최, 첫 공론의 장 열려
1. ‘대전충남 행정통합’ 대한민국 미래의 핵심축-행사포스터
대전충남 행정통합 대한민국 미래의 핵심축 행사 포스터. /대전시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주제로 한 국회포럼이 열리며 통합 특별시 출범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다.

'대전충남특별시 설치 및 경제과학수도 조성을 위한 특별법'이 국회에 발의된 가운데, 대전·충남 행정통합에 대한 국민 공감대 확산을 위한 포럼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렸다.

성일종 국회 국방위원장과 장동혁 국민의힘 당 대표, TJB가 공동 주최하고 대전시와 충남도가 공동 주관했다.

행사에는 성 위원장을 비롯해 김태흠 충남도지사, 이장우 대전시장 등 350여 명이 참석했으며, 인요한·진종오·이달희·김성원 의원 등도 함께 자리를 빛냈다.

포럼은 성 위원장의 환영사와 김 지사, 이 시장의 축사로 시작해 기조강연과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성 위원장은 "대전충남 행정통합은 단순한 조직 개편이 아니라 국가 균형발전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는 도전"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대전과 충남이 앞장서 행정통합의 물꼬를 트겠다"며 "특별법이 조속히 통과돼 대한민국 미래 100년의 기틀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행정통합은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충청권 경쟁력을 높이는 시대적 과제"라며 "특별법 통과 시 중앙정부로부터 권한과 재정을 이양받아 실질적인 준연방정부 수준의 지방정부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기조강연에서는 정재근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공동위원장이 '국가 균형발전과 충청권의 실천'을 주제로, 충남도와 행정안전부 재직 경험을 기반으로 한 사례와 통찰을 공유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는 이창기 공동위원장이 좌장을 맡고, 홍준현 중앙대 교수, 전성만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센터장, 고승희 충남연구원 연구실장, 이수복 TJB 기자가 참석해 대전충남 행정통합과 5극 3특의 연계, 초광역 모델의 국가 성장 전략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대전충남특별시는 특별법이 12월 국회를 통과할 경우 내년 7월 공식 출범할 예정이며, 대전시와 충남도는 법안 통과와 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활동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진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