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美中 보복 악순환 안돼” 공감… 관세전쟁 긴장완화 전환점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31010013567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10. 30. 17:58

트럼프·시진핑 100분간 정상회담
中 결사항전 의지에 美 한발 양보 시각
외신 등 "빅딜에 가까운 스몰딜" 평가
中 관영통신도 "경제 협력 강화 논의"
SKOREA-US-CHINA-DIPLOMACY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열 맨 앞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열 맨 앞쪽)이 30일 부산 강서구 김해국제공항 공군기지 의전실 나래마루에서 정상회담하고 있다. 양국은 이번 회담에서 펜타닐 관세 인하 및 희토류 수출 통제 유예 등의 무역 긴장 완화에 합의했다. /AFP 연합
30일 부산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정상회담은 성공적인 만남이라는 평가가 우세하다. 관세 전쟁의 긴장이 계속되는 가운데 6년 만에 이뤄진 이번 회담에서 전환점을 예고하는 결정을 이끌어냈기 때문이다.

이번 회담에서 미국은 대중국 관세율을 10%포인트 인하하고, '좀비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에 대한 관세도 10% 내리기로 했다. 중국 역시 희토류 수출 통제를 1년 유예하고 미국산 대두 수입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이러한 결정은 외신과 한중 외교 소식통들의 예상을 뛰어넘는 것으로, 이번 회담이 '빅딜'에 가까운 '스몰 딜'로 평가받는 이유다.

다만 다음 달 중순 만료 예정인 양국 간 초고율 관세 유예 기간의 재연장 문제는 타결에 이르지 못했다. 이는 양국 간 이견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하지만 올해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격렬하게 이어진 관세 및 무역 전쟁의 맥락을 고려할 때 이러한 이견은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번 합의에서 양국이 상당한 성과를 거둔 데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우선 절대 굴복하지 않겠다는 중국의 결사항전 의지를 파악한 미국이 한발 양보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미국은 더 이상 강경하게 나설 경우 예상치 못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는 위기감을 느낀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중국이 오랜 관세 및 무역 전쟁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중국은 미국의 협상 패턴과 압박 방식을 상당 부분 파악하고 있었고, 이를 토대로 전략적으로 대응했다. 외교 소식통들은 이를 두고 "중국은 이미 지피지기(知彼知己) 상태였다"고 설명한다. 중국은 미국과 달리 필요할 경우 지지를 확보할 수 있는 외교적 우군도 갖고 있었다. 실제로 독일·프랑스·이탈리아 등 일부 유럽연합(EU) 국가들은 상황에 따라 중국과의 경제 협력 강화를 택하며 미국과 완전히 같은 입장을 취하지 않은 바 있다.

이번 정상회담의 성과를 토대로 양국 관계는 상당 부분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 주석은 회담 직후 "중국과 미국은 대결보다 대화를 강화해야 한다"며 "양국 간 각 채널의 소통을 유지하고 경제 무역 문제 해결에 공감대를 찾아야 한다. 상호 보복의 악순환이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한 전향적인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 역시 "중미 정상이 경제 및 무역, 에너지 분야의 협력 강화를 논의했으며, 인문 교류도 촉진해야 한다"고 보도하며 같은 맥락을 이어갔다.

팡창핑 런민대학 정치학과 교수는 "미국은 중국을 일방적으로 압박해서는 곤란하다. 이제 그러한 비이성적인 억압의 시대는 갔다"며 미국과 중국이 대등한 관계에서 이성적으로 소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