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진적 수익성 개선 기대
| 
 | 
29일 한온시스템은 3분기 매출 2조 7057억원, 영업이익 953억원을 달성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2%, 1.7% 증가했다고 밝혔다. 순이익은 553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1분기 이후 6분기 만에 흑자 전환했다. 전 분기 대비 매출은 5.3%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48.2%, 순이익은 466.4% 각각 증가하며 수익성을 회복했다.
이수일 대표이사 부회장은 "순이익 흑자 전환과 영업이익률 회복 등 수익성 개선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며 "선행기술 및 연구개발 역량 강화, 공급망 최적화를 통한 원가 절감 등 주요 전략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러한 실적 개선 배경으로 한온시스템은 효율적인 원가 관리, 우호적인 환율 영향, 고객사와의 협력 관계 강화 등을 꼽았다. 전사적인 원가 개선과 운영 효율화 노력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동화 부문 매출 비중은 28%로 집계됐다. 미국 전기차 보조금 폐지, 신규 모델 출시 후 램프업 기간(초기 가동 단계로 생산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기간) 등의 요인이 있지만, 연간 28%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한온시스템의 중장기 실적은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이 나온다. 연구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내연기관(ICE)부터 하이브리드(HEV, PHEV), 수소전기차(FCEV), 순수전기차(BEV)를 포함해, 차세대 파워트레인으로 꼽히는 주행거리연장형 전기차(EREV)까지 대응 가능한 기술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고 있어서다. 한국앤컴퍼니그룹은 한온시스템을 통해 타이어·배터리·열관리로 이어지는 미래 핵심 포트폴리오를 완성한다는 전략이다.
이와 함께 재무 안정화에도 공들이고 있다.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된 자금을 우선적으로 부채상환에 집중 투입한다. 이 외에 운영자금, 시설 유지보수, 신규 생산설비 투자 등 주요 영역에 투입해 체질 개선에 주력할 계획이다. 한온시스템은 "이자 비용 부담을 줄여 재무 구조를 개선하고, 신규 생산설비 투자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