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프라·데이터 거버넌스·운영 역량 등 3대 전략 제시
"한국, 반도체·디지털 인프라 강점으로 글로벌 AI 리더십 확보할 시기"
|
23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라운드테이블에서 크리스 리헤인 OpenAI 글로벌 대외협력 총괄은 '한국에서의 AI: OpenAI의 경제 청사진'을 직접 공개했다.
오픈AI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한국이 프런티어 AI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끌 수 있는 전략적 전환점에 있다"며 "기술 잠재력을 극대화하면서도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오픈AI는 특히 삼성전자, SK,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의 협력을 주요 사례로 들며 한국이 자사의 초거대 AI 인프라 글로벌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 참여한다고 명시했다. 스타게이트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처음으로 추진되는 국가 단위 협력으로 AI 데이터센터 구축과 반도체 공급망 협력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오픈AI는 한국이 △GPU 및 컴퓨팅 자원 확보 △대규모 AI 모델의 안정적 배포 역량 강화 △데이터 관리 체계 고도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또한 중소기업, 의료, 교육 등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는 분야부터 단계적으로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러한 전략을 통해 한국은 'K-AI 생태계'를 구축하고 향후 기술·금융·정책 지원이 결합된 'AI 국가 패키지'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리헤인 최고책임자는 "AI의 새로운 지능 시대에 한국은 단순한 기술 수용국이 아니라 글로벌 표준을 제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춘 국가"라며 "오픈AI는 삼성, SK,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이 신뢰받는 AI 시스템 제공국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