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패션·카페·팝업…‘자체 콘텐츠’ 키우는 현대百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8010010367

글자크기

닫기

차세영 기자

승인 : 2025. 09. 18. 18:28

유통 넘어 브랜드사업 차별화 전략
면세 부진 속 신사업으로 외형 확장
스트리트브랜드 '에이프' 26일 첫 선
현대
더현대 서울 에이프 매장 오픈을 기념해 제작한 '에이프 서울 에디션' 제품(왼쪽)과 지난 8월 오픈한 현대백화점 자체 카페 브랜드 '틸화이트'의 대표 제품인 식빵 7종 이미지. / 현대백화점
현대백화점이 '시그니처' 콘텐츠 생성에 주력하고 있다. 핵심은 '직접성'이다. 단순 유통을 넘어 자체 판권과 브랜드, 플랫폼을 자산으로 쌓아 외형을 키우려는 모양새다. 최근 두 달간에만 패션·카페·글로벌 유통으로 진출했다.

최근에 더한 건 패션이다. 현대백화점은 글로벌 스트리트 브랜드 '에이프(Aape)'의 국내 독점 판권을 확보하고 오는 26일 더현대 서울에 1호점을 연다고 18일 밝혔다. 독점 판권은 가격·물량·협업 에디션을 스스로 설계할 수 있게 하고, 백화점 전관 마케팅과 결합해 빠르게 트래픽을 끌어올릴 수 있다. 회사 관계자는 "자체 운영 중인 편집숍 '피어(PEER)'에서 판매량 기준 상위 3위권을 꾸준히 지킬 정도로 MZ세대에게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에서만 구매 가능한 단독 에디션 출시 계획도 밝혀 기대감을 키웠다.

지난 8월에는 카페 '틸화이트'도 론칭했다. 백화점 업계 첫 자체 카페로, 식빵·스프레드·굽기를 조합하는 커스터마이징과 작가 협업 공간 디자인을 내세웠다. 식음료 콘텐츠는 단순 매출을 넘어 고객 체류를 늘리고 재방문을 이끄는 수단으로 쓰인다. 자체 브랜드일수록 차별화 전략의 성격이 강하다는 점도 의미를 더한다.

대만 타이베이에 위치한 신광미츠코시 백화점 신이 플레이스 A11점 전경
대만 타이베이에 위치한 신광미츠코시 백화점 신이 플레이스 A11점 전경. / 현대백화점
글로벌 시장 공략은 '더현대 글로벌'이 맡고 있다. 현대백화점이 직접 소싱·통관·매장 협상까지 주도해 국내에서 검증된 브랜드를 해외에 소개하는 구조다. 업계 최초로 대만에 진출해 10월부터 12월까지 현지 백화점에서 팝업스토어를 운영, 오는 19일에는 일본에 정규 매장도 연다. 현대는 'K브랜드 수출 플랫폼' 역할을 하겠다는 구상을 내세웠다.

콘텐츠 확장 배경에는 실적 압박이 있다. 현대백화점은 올해 상반기 별도 기준 매출 1조1791억원, 영업이익 166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 4.3% 하락한 수치다. 패션 부문 부진으로 역신장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현대백화점은 단순 유통을 넘어 자체 콘테츠를 통해 수익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회사 관계자는 "에이프 계약은 해당 브랜드의 국내 독점 판매권을 확보해 시그니처 콘텐츠로 키우는 선순환 모델이라는 점에서 의미 깊다"고 말했다.
차세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