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관계 발전, 양국 공동 이익
中과 거리두면 韓 경제 타격 주장
|
또 그는 "중국의 대(對)한국 정책은 연속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한국이 중국과 마주 보고 중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가 지속해서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발전하도록 함께 노력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전체 맥락으로 볼 때 상당히 원칙론적인 입장을 피력했다고 볼 수 있다. 한마디로 수위 조절을 했다고 봐도 좋다.
그러나 관영매체는 바로 이 대통령의 발언을 비판하면서 한중 관계가 마치 살얼음판을 걷는 것 같다는 뉘앙스의 보도 자세를 보였다. 당 기관지 런민르바오(人民日報) 계열의 영자지 글로벌타임스의 이날자 사설을 살펴보면 잘 알 수 있다. 사설은 우선 "중견 강국으로서 한국은 격변하는 국제 질서 속에서 어떻게 전략적 자율성을 유지하고 확대할 수 있을지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한국이 반도체·공급망·대만해협·남중국해 등 중국의 핵심 이익과 관련된 문제에서 미국 요구에 따라 무조건적인 대(對)중 견제에 나선다면 이는 곧 한국의 국가 운명을 위험한 전차에 스스로 묶어버리는 것"이라면서 "한국이 중국과 거리를 두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한다면 한국 경제와 국민의 삶에 심각한 타격을 입힐 것이다. 가장 근본적 이익이 훼손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건전하고 안정적인 중한 관계는 그 자체로 한국의 가장 중요한 전략적 자산 중 하나이다. 한국이 외부 압력에 저항하고 한반도 평화를 유지할 수 있는 견고한 기반"이라면서 "한국은 체스판 위의 말이 될지, 체스판의 플레이어가 될지 독립적 결단력을 보여야 한다"고 충고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한마디로 줄을 잘 서라는 얘기라고 할 수 있을 듯하다. 세계 10대 강국인 국가에 대놓고 할 소리는 아니라고 해도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