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핫플’ 성수동, 10년 만에 경제가치 3.5배 껑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6010012886

글자크기

닫기

박지숙 기자

승인 : 2025. 08. 26. 15:25

성동구, 빅데이터 분석 결과, 4364억→1조5497억원 급성장
사업체 2만개·관광객 3000만명 몰려, 일자리 51% 증가
0826 성수동 거리 모습
성수동 거리 모습/성동구
도시재생의 성공 모델로 꼽히는 서울 성동구 성수동의 경제적 가치가 10년 만에 3.5배 폭증했다. 2014년 4364억 원에서 2024년 1조 5497억 원으로 1조 1132억 원이나 증가한 것이다.

성동구는 성동 빅데이터센터 분석 결과, 2024년 성수동의 경제적 가치가 1조 5497억 원으로 평가돼 향후 연간 1조 원 이상 경제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26일 밝혔다.

성수동을 찾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꾸준히 늘었다. 내국인 방문객은 2018년 1993만 명에서 2024년 2620만 명으로 31% 증가했고, 외국인 방문객은 같은 기간 6만 명에서 300만 명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보였다. 카드 매출액도 2014년 637억 원에서 2024년 2384억 원으로 1747억 원 증가하며 지역 소비 성장을 이끌었다.

사람들의 발길은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졌다. 성수동 내 사업체 수는 2014년 1만 751개에서 2023년 1만 9200개로 78% 증가했으며, 종사자 수도 8만 2747명에서 12만 4923명으로 51% 늘었다. 이에 따라 법인 관련 소득세는 2014년 3727억 원에서 2024년 1조 588억 원으로 184%나 증가했다.

구의 적극적인 사회적경제·소셜벤처 정책도 성수동의 성장을 뒷받침했다. 지난 10년간 성수동 내 사회적기업은 24개에서 129개로, 소셜벤처는 12개에서 297개로 대폭 확대됐다.

크리에이티브X성수 축제와 소셜벤처 EXPO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연간 약 969억 원의 경제 효과가 발생했으며, 소셜벤처 허브센터 입주기업들은 2024년 한 해에만 125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자산 가치 역시 크게 상승했다. 성수동 공시지가는 2014년 ㎡당 321만 원에서 2024년 680만 원으로 두 배 이상 뛰었으며, 성동구 지역내총생산(GRDP)은 2021년 기준 12조 7000억 원으로 2014년 대비 29% 증가했다. 대부분 기부채납을 통해 확보한 건물과 토지 가치는 1576억 원에 달하며, 구가 민관 협력으로 조성한 공유재산은 앞으로 성수동의 성장과 함께 그 가치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쇠퇴한 준공업 지역이었던 성수동은 2014년 성동구가 대규모 재개발 대신 지역 정체성 보존과 지속가능 성장을 원칙으로 한 도시재생을 추진하면서 변화를 시작했다.

붉은 벽돌 건물을 보존해 카페·갤러리·공방 등으로 되살린 전략은 성수동만의 독특한 도시 분위기를 만들었고, 해외 주요 매체가 '세계에서 가장 멋진 동네'로 주목하는 계기가 됐다. 또한 구는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정책을 국내 최초로 시행해 원주민과 지역상권을 지켜내며 상생 기반을 다졌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성수동 도시재생의 핵심은 지역의 정체성을 살리면서도 지속가능한 상생의 도시를 만드는 것이었다"며 "성수동은 성동구가 추진한 다양한 정책들이 결실을 맺어, 사람이 모여야 기업이 모이고 지역이 성장한다는 새로운 도시 성장 모델을 보여준 성공사례"라고 강조했다.
박지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