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등 여당 지도부가 최근 대통령과 공공기관장의 임기를 일치시키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하자고 주장하고 있는데 대통령실이 이에 힘을 싣은 것이다.
우상호 정무수석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은 국민이 선출한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일관되게 반영해야 한다는 게 다수의 여론이다.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잘 이해하는 분이 일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 수석은 "특히 계엄과 대통령 탄핵의 혼란을 틈타 임명된 공공기관장에 대한 문제는 심각하게 바라봐야 한다"며 "국회의 탄핵안 가결 후에도 53명의 기관장이 임명됐고 이 중 22명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에 임명됐다"고 지적했다.
우 수석은 '필요성에는 동의하지만 민주당 정권에서 이런 주장을 하면 야당이 수용할 수 있겠느냐'는 국민의힘 중진 의원들의 발언을 소개하며 "그래서 민주당이 야당일 때 제가 이 주장을 했다는 점을 상기시키면서 여야 합의 처리를 당부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우 수석은 "언제가는 바꿔야 하는데 솔직히 말하면 욕 먹어도 할 일이 아닌가"라며 "누가 욕 먹더라도 해놔야 다음 대통령이 자기 시키고 싶은 사람을 시켜서 공공기관 개혁도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 수석은 "과거 문재인 정부 때도 시도했고, 이후 정권 때도 논란이 있었는데 소모적"이라며 "사실 국가를 생각하면 여야를 막론하고 이건 문제"라고 거듭 지적했다.
이어 "관련한 법이 다수 발의된 것으로 안다"며 "매번 반복되는 논쟁을 이제는 끝낼 수 있도록 국회에서 여야가 대화하며 지혜를 모아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