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모니터링으로 위험징후 실시간 파악·학교 대응 체계 의무화
|
교육부는 21일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부교육감 회의를 열고 9월부터 본격 시작되는 직업계고 현장실습을 앞두고 안전사고 예방 체계를 점검했다. 이번 회의는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이 공동으로 현장실습 안전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자리다.
그동안 교육부는 모든 직업계고에 전담 노무사 올해 기준 1077명를 배치해 기업 현장 사전 실사를 의무화하고, 학생들에게는 안전·노동인권 교육을 실시해왔다. 또 인공지능(AI) 기반 위험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현장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교육부는 다음 달부터 내년 1월까지 현장실습 특별점검반을 운영한다. 최근 3년간 사고 발생 빈도와 강도를 분석해 중점 관리대상 학교와 기업을 선별하고, 교육부·현장실습 컨설턴트·안전 전문가가 합동 점검에 나선다.
시도교육청에선 부교육감과 담당 국·과장이 직접 현장실습 기업을 점검, 운영 실태와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타 시도와 공유하기로 했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학교의 촘촘한 안전관리와 수시 점검을 통해 안전사고와 권익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참여 주체의 지혜와 역량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