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지원금·농가 생계비·소상공인 지원 확대…공공시설 방재 성능 보강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7일 회의를 열고 집중호우 피해 규모와 복구 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호우로 24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되고 33명이 다쳐 총 57명의 인명피해가 났다. 피해액은 1조848억원으로 집계됐다. 주택 4927동, 농작물 3만여헥타르(㏊), 소상공인 5480곳 등이 피해를 입었으며 하천·도로·수리시설 등 공공시설 피해도 광범위하게 발생했다.
이번 피해액은 제3호 태풍 에위니아 및 집중호우가 발생한 2006년 7월 7~29일 1조8344억원 이후 19년 만에 최대 규모다. 1조원이 넘는 피해액이 발생한 건 2020년 7월 28~8월 11일 집중호우(1조371억원) 이후 처음이다.
정부는 이번 집중호우 피해 복구비를 총 2조7235억원으로 확정했다. 이 중 공공시설 복구에는 2조4538억원이 배정됐다. 단순 기능 복구에 1조3520억원, 하천 폭 확장·제방 보강 등 방재 성능 개선 복구에는 1조1018억원이 쓰인다. 개선 복구는 지난해보다 2.5배 확대돼 총 50곳에서 추진된다. 산사태로 마을 기능이 상실된 경남 산청군 상능마을은 이주단지 조성·도로 신설 등 '지구단위 복구계획'이 적용된다.
피해 주민 지원을 위한 재난지원금은 2697억원이다. 완전히 무너져 살 수 없게 된 집의 경우 기존 지원금 외 6000만원을 추가 지급하며, 풍수해보험 가입자는 보험금 외 3200만원을 더 지원받는다. 침수 피해 지원은 기존 350만원에서 700만원으로 두 배 늘었다. 농가에는 최대 12개월치 생계비가 지급되고, 수박·딸기·사과 등 주요 10개 농작물과 8개 산림작물은 지원 단가와 지원율을 상향해 실거래가 수준에서 100% 보전된다. 가축 입식비와 농기계 지원율도 상향됐다. 소상공인 피해 지원금은 기존 5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두 배 올랐다.
피해 주민에겐 국세·지방세 유예, 건강보험료 경감, 전기·통신·도시가스 요금 감면 등 간접 혜택도 제공된다. 특별재난지역은 일반 재난지역보다 13개 항목이 추가돼 총 37가지 지원을 받는다. 정부는 지자체에 국고보조금을 신속히 교부하고 성립 전 예산제도 등을 활용해 조기 집행을 독려할 방침이다.
중대본부장인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번 복구계획은 재해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고 피해 주민의 빠른 일상 회복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사항을 최대한 반영해 수립했다"며 "정부와 지자체가 힘을 모아 피해지역을 더 안전한 생활 터전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