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미, 국가별 상호관세율 일방 통보 가능성...백악관 “마라톤회의 후 결정”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2.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1010000019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7. 01. 07:10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백악관서 교역국 검토, 관세율 최종 결정 마라톤회의"
7월 4일 감세법 통과 직후 백악관 회의
본격 협상 시작 한국, 제대로 협상 못하고 일방통보 당할 가능성
트럼프 상호관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교역국에 대한 상호 관세를 발표하면서 각국에 대한 관세율이 적힌 차트를 들어 보이고 있다./AP·연합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미국 백악관은 30일(현지시간) 교역국별 상호관세 부과 유예 기간이 끝나는 7월 8일께 백악관에서 마라톤 회의를 열어 관세율을 최종적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CNBC 방송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감세 법안이 미국 독립기념일인 7월 4일까지 통과한 직후에 합의할 수많은 거래에 대한 프레임워크(협정 틀)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싯 위원장은 '7월 9일에 무슨 일이 일어날까? 관세율이 인상되는 걸 보게 되나'라는 진행자 물음에 "오벌 오피스(대통령 집무실)에서 마라톤 회의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이어 "우리는 대통령과 (교역국을) 하나씩 검토할 것이고, 최종 결정을 내려 관세율을 설정할 것"이라며 "세계에 (상무장관) 하워드 러트닉과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제이미슨 그리어, (재무장관) 스콧 베선트가 해온 모든 일을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USA GOVERNMENT HASSETT WHITE HOUSE
케빈 해싯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오른쪽)이 30일(현지시간) 백악관 웨스트윙(서관·대통령 집무동) 경내를 걸어가고 있다./EPA·연합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57개 경제주체(56개국·지역+유럽연합<EU>)별 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발효일인 같은 달 9일 중국을 제외한 경제주체에 대한 관세 부과를 7월 8일까지 90일간 유예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연장하지 않고, 합의되지 않은 교역국에 대해 상호 관세율을 통보하는 서한을 곧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나는 일본을 매우 존중한다. 하지만 그들은 대량의 쌀 부족을 겪고 있는데도, 우리의 쌀을 수입하지 않으려고 한다"며 "다시 말해 우리는 그들(일본)에게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미국과 서로 구체적인 희망 사항을 테이블 위로 올려놓고 밀고 당기기식 협상을 시작하려는 단계인 한국은 제대로된 협상도 하지 못하고 이미 예고된 25%의 상호 관세율이 적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4월 2일 교역국별 상호 관세율을 정할 때 실제 상대국 실질 관세율과 무관하게 USTR의 2024년 집계치 기준으로 '미국의 해당국 상대 상품수지 적자액'을 '미국의 해당국 상품수입액'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환산하고, % 단위로 반올림해 해당 국가의 관세율을 산정했었다.

지난해 미국이 한국과의 상품 교역에서 기록한 적자 660억달러를 수입액 1320억달러로 나누면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한 한국의 실질 관세율 50%가 나오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그 절반인 25%의 상호 관세를 한국에 부과했다.

해싯 위원장은 인터뷰에서 현재까지의 협상 성과에 대해 "우리는 수많은 협상(deals)을 하고 있고, 두 자릿수"라고 전했다.

이는 베선트 장관이 27일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밝힌 수치와 비슷하다.

베선트 장관은 "만약 우리가 (7월 8일까지) 18개 주요 교역국 중 10개나 12개를 타결할 수 있고, 또 다른 20개의 중요한 (교역) 관계가 있는데, 그러면 우리가 노동절(9월 1일)까지 무역(협상)을 마무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통신 인터뷰에서 '18개 주요 교역국 중 몇 개 국가와 7월 9일 전에 협상을 타결할 것으로 예상하냐'는 질문에 "두고 보자"며 "늘 그렇듯이 마지막 주에 다가가면 압박이 커지면서 (협상이) 부산해질 것"이라고 답했다.

CNBC는 트럼프 대통령이 7월 8일 또는 9일 관세 시한을 고수할지는 불분명하다며 그가 27일 '두 날짜 중 하나를 고수할 것인지'를 묻는 말에 "우리는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